본문 바로가기
2007.08.02 01:10

양재기

조회 수 11211 추천 수 3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양재기

  본뜻 : 한자어 양자기에서 나온 말이다.  흙으로 구운 우리 나라 도자기는 자칫 잘못하면 깨지기 일쑤였는데 서양에서 들어온 금속 그릇 등은 함부로 굴려도 깨지지 않고 튼튼했기에, 알루미늄이나 양은으로 만든 그릇들을 양자기라고 불렀다.  그것이 음운 변화를 일으켜서 양재기가 된 것이다.

  바뀐 뜻 : 알루미늄으로 만든 그릇을 가리키는 말이다.  요즈음은 알루미늄으로 만든 양재기보다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든 그릇이 더 널리 쓰이고 있다.

  "보기글"
  -깨지길 하나, 금이 가길 하나?  양재기야말로 만년 쓸 수 있는 그릇이지
  -60년대만 해도 양재기가 귀했는데 이제는 또 다시 옛날처럼 도자기 그릇이 유행이니 도대체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될 지 모르겠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8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61
3194 포퓰리즘 / 특칭화의 문제 風文 2020.07.15 2066
3193 포클레인, 굴삭기 / 굴착기, 삽차 바람의종 2010.05.31 16431
3192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9919
3191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1816
3190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542
3189 평가하다, 때문에 바람의종 2008.11.21 7565
3188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901
3187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988
3186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0810
3185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349
3184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838
3183 퍼센트포인트 바람의종 2011.11.24 13295
3182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2777
3181 패이다 바람의종 2008.12.11 14762
3180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8976
3179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328
3178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8921
3177 팥죽에 새알심 바람의종 2010.11.01 11160
3176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885
3175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5985
3174 팔색조 바람의종 2009.10.07 7949
3173 파티쉐 바람의종 2009.09.18 101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