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01.04 13:22

두루 흐린 온누리

조회 수 2104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루 흐린 온누리


‘사람이 아니무니다.’ 코미디의 대사가 아니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뽑았던 ‘올해의 인물’을 두고 하는 말이다. 이 잡지가 1972년 ‘올해의 인물’을 선정하기 시작한 이후 사람이 아닌 것을 뽑은 첫 주인공은 컴퓨터. 당시 ‘경쟁자’는 베긴 이스라엘 총리, 대처 영국 총리, 영화 주인공 ‘이티’(ET)였다. 30년 전인 1982년의 일이다. 이렇듯 서양문화권은 한해를 마무리하며 사람이나 사물을 떠올리지만, 한자문화권인 한·중·일 삼국은 관념적인 한자로 지난해를 돌아본다. 

<중국신문망>은 ‘올해의 한자’로 ‘멍(夢)’을 선정해 발표했다. 올림픽 개최와 유인우주선 발사, 노벨상 수상을 비롯한 ‘중국의 꿈’이 실현된 성취감을 담은 것이라고 언론은 풀이했다. 일본한자능력검정협회가 꼽은 ‘올해의 한자’는 ‘가네(金)’이다. 소비세 증세 논란 따위의 돈 문제로 떠들썩했던 일본 경제를 반영한 것이라 한다. 한국의 <교수신문>이 고른 ‘올해의 사자성어’는 ‘거세개탁(擧世皆濁)’이다. ‘정권 끝자락에서 윤리와 도덕이 붕괴되고 편법과 탈법이 판을 치는 세상’을 반영했다는 게 선정에 참여한 한 교수의 말이다.

한·중·일 삼국이 한자에 세상을 담아내는 방법도 다르다. 중국과 일본은 한 글자, 한국은 사자성어이다. 고려 중엽부터 전해오는 시조의 4음절 음보에 맞기 때문일 것이다. 사물과 현상을 인식하는 방식의 다름은 ‘올해의 사자성어(한자·인물)’에서도 드러나는 걸 보니, 미국의 심리학자 리처드 니스벳이 <생각의 지도>에서 공자의 후손과 아리스토텔레스 후손의 문화를 비교분석한 것은 괜한 게 아니었다. 한글날이 23년 만에 공휴일이 되는 새해부터는 ‘올해의 낱말(글월)’도 뽑아보면 어떨까. ‘거세개탁’이라면 ‘두루 흐린 온누리’나 ‘흐린 세상’, 시빗거리 많은 세상이라면 ‘따따부따’(딱딱한 말씨로 따지고 다투는 소리, 또는 그 모양)처럼 말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2451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3930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2Apr
    by 바람의종
    2010/04/02 by 바람의종
    Views 23664 

    늘그막, 늙으막 / 늑수그레하다, 늙수그레하다

  5. No Image 27Dec
    by 바람의종
    2008/12/27 by 바람의종
    Views 23175 

    쌓인, 싸인

  6. No Image 15Aug
    by 바람의종
    2010/08/15 by 바람의종
    Views 22704 

    ‘넓다´와 ‘밟다´의 발음

  7. No Image 12Jul
    by 바람의종
    2010/07/12 by 바람의종
    Views 22601 

    꺼예요, 꺼에요, 거예요, 거에요

  8.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9. No Image 24Mar
    by 바람의종
    2009/03/24 by 바람의종
    Views 22258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10. No Image 18Oct
    by 바람의종
    2010/10/18 by 바람의종
    Views 22092 

    못미처, 못미쳐, 못 미처, 못 미쳐

  11. No Image 11Nov
    by 바람의종
    2010/11/11 by 바람의종
    Views 22077 

    뜻뜨미지근하다 / 뜨듯미지근하다

  12. No Image 17Dec
    by 바람의종
    2012/12/17 by 바람의종
    Views 22036 

    상봉, 조우, 해후

  13. No Image 29Jan
    by 바람의종
    2008/01/29 by 바람의종
    Views 21889 

    색깔이름

  14. No Image 05Dec
    by 바람의종
    2012/12/05 by 바람의종
    Views 21587 

    썰매를 지치다

  15. No Image 05Dec
    by 바람의종
    2012/12/05 by 바람의종
    Views 21402 

    달디달다, 다디달다

  16. No Image 29Nov
    by 바람의종
    2009/11/29 by 바람의종
    Views 21373 

    땜빵

  17. No Image 21Dec
    by 바람의종
    2012/12/21 by 바람의종
    Views 21328 

    통음

  18. No Image 24Oct
    by 바람의종
    2008/10/24 by 바람의종
    Views 21298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19. No Image 14Sep
    by 風磬
    2006/09/14 by 風磬
    Views 21154 

    괴발개발(개발새발)

  20. No Image 22Dec
    by 바람의종
    2011/12/22 by 바람의종
    Views 21135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21. No Image 04Jan
    by 바람의종
    2013/01/04 by 바람의종
    Views 21043 

    두루 흐린 온누리

  22. No Image 26Apr
    by 바람의종
    2010/04/26 by 바람의종
    Views 21017 

    내 자신, 제 자신, 저 자신, 너 자신, 네 자신

  23. No Image 30Nov
    by 바람의종
    2012/11/30 by 바람의종
    Views 20965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24. No Image 23Aug
    by 바람의종
    2012/08/23 by 바람의종
    Views 20922 

    나무랬다, 나무랐다 / 바람, 바램

  25. No Image 23Nov
    by 바람의종
    2012/11/23 by 바람의종
    Views 20814 

    명-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