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432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포클레인

쇠로 만든 커다란 삽을 움직여 땅을 파거나 삽 대신에 정을 달아 아스팔트 또는 바위 따위를 깨는 중장비를 흔히 ‘포크레인’이라고 한다. 이것의 삽 끝에 달린 갈고리가 마치 포크(fork)의 창처럼 생겼고, 때로는 무거운 것을 들어올려 옮기기도 하기 때문에 크레인(crain)의 일종인 것 같은 점을 두고 붙은 이름인 듯하다. ‘포클레인’이 규범 표기로 정해져 있지만, 이는 이것이 포크나 크레인과는 상관이 없고 프랑스의 제작회사인 ‘포클랭’(Poclain)사의 이름에서 나온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표현이 ‘포클랭’이라는 원래 이름에 가깝지 않은 이유는 아마도 이 말이 영어를 통해서 들어왔거나, 아니면 널리 퍼진 ‘포크레인’과 너무 멀어지지 않게 정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포클레인은 ‘삽차’로 순화되었는데, 영어권에서도 비슷하게 ‘유압식 삽’이라는 뜻의 ‘하이드롤릭 셔블’(hydraulic shovel)이라고도 하니 상통하는 바가 있다. 이를 흔히 ‘굴착기’ 또는 ‘굴삭기’라고도 하는데, 굴착기가 바른 표현이다. 그리고 이는 땅이나 암석을 파는 기계나 판 것을 처리하는 기계를 통틀어 이른다. 포클랭사는 1930년대에 조르주 바타유가 세운 회사로 그 후손과 친척들이 발전시켰는데, 유압 모터 방식의 삽차를 개발함으로써 세계 시장을 선도하여 그 명성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김선철/문화체육관광부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92
3194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284
3193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284
3192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285
3191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287
3190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287
3189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289
3188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289
3187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290
3186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291
3185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292
3184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292
3183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292
3182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293
3181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296
3180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297
3179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299
3178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300
3177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302
3176 혼성어 風文 2022.05.18 1304
3175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304
3174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307
3173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3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