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11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북한의 이른바 나라꽃은 진달래꽃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그들에 따르면 조선의 국화는 목란꽃이다. 북한의 <조선말대사전>(2007)에는 ‘목란꽃’은 “목란의 꽃. 향기롭고 아름다운 흰 꽃으로서 조선의 국화이다. …”로 되어 있고, 또 “목란꽃! 그것은 수령님께서 몸소 지어 주신 꽃 이름이다”라고도 나와 있다. 자료를 보면 1964년 5월 김일성 주석이 황해북도의 어느 휴양소에 들렀을 때 이 나무의 이름을 ‘목란’(나무에 피는 난)으로 부르는 것이 좋겠다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그러니까 결국 북한의 나라꽃은 목란꽃인데 흰 목련을 말하며 이름은 김일성 주석에게서 유래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런데 남한의 <국어대사전>(금성출판사, 1992)에는 ‘목란’에 대하여 “=목련”이라고 풀이하고 있어 김일성 주석 이전에 이미 남한에도 목란이라는 말이 있어 왔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므로 김 주석의 작명설은 근거가 희박하다.

그 뒤 필자는 우리의 흰 목련과 북한의 목란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오래도록 고심한 일이 있다. 그리고 강원도 강릉 출신의 국어학자와의 우연한 대화를 통하여 강릉 지방에서는 예로부터 하얀 산목련을 목란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이 목란꽃을 공식적으로 국화로 지정한 것은 1991년 4월10일의 일이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6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3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77
3172 오락·문화용어 바람의종 2010.03.19 14418
3171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417
3170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403
3169 유해, 유골 바람의종 2010.09.05 14396
3168 빈축, 효빈, 눈살, 눈쌀 바람의종 2009.12.04 14382
3167 제작, 제조, 조제 바람의종 2010.07.05 14377
3166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74
3165 오지랖이 넓다 바람의종 2008.01.27 14346
3164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바람의종 2009.05.29 14309
3163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297
3162 죽음을 이르는 말들 file 바람의종 2010.01.08 14275
3161 체신머리, 채신머리 바람의종 2009.07.18 14270
3160 ‘앗다’와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0.04.18 14269
3159 입천장이 '데이다' 바람의종 2012.05.04 14255
3158 버스 값, 버스비, 버스 요금 바람의종 2010.03.24 14247
3157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225
3156 부인, 집사람, 아내, 안사람 바람의종 2010.02.15 14211
3155 오사바사하다 風磬 2007.01.19 14204
3154 제비초리 바람의종 2007.03.23 14202
3153 짬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30 14202
3152 올곧다 바람의종 2007.03.03 14195
3151 바투 바람의종 2010.11.10 141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