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7 07:32

호르몬

조회 수 749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호르몬

동물의 내분비샘에서 분비되는 체액과 함께 체내를 순환하여 다른 기관이나 조직의 작용에 영향을 끼치는 물질을 통틀어 ‘호르몬’, 즉 내분비물이라 이른다. ‘호르몬’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원어가 영어 ‘hormone’으로 나타나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코너’(corner), ‘저먼’(German)과 같은 많은 예들을 보면 우리의 차용 습관으로 영어 ‘hormone’은 ‘호몬’으로 받아들였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왜 ‘호르몬’이라고 할까? 이에 대해서는 세 가지 추측이 가능하다.

먼저, 철자식 발음일 수 있다. 우리가 서구어를 처음 받아들일 때는 원어의 발음을 접하기 어려웠고 대신 인쇄물을 통해서 받아들였기 때문에 철자식 발음으로 된 외래어가 있다. ‘메달’(medal), ‘모델’(model)이 그런 예로 보인다.(일본어를 통해 들어온 것일 수도 있다.) 둘째, 원어가 영어가 아니라 독일어 ‘Hormon’일 수 있다. 독일어의 음절 끝에 오는 ‘r’를 우리가 ‘르’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Garten’은 ‘가르텐’, ‘Dortmunt’는 ‘도르트문트’라고 한다. 셋째, 일본어 ‘호루몬’(ホルモン)이 들어와서 적절히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이 세 가지 가운데 가장 가능성이 있는 것은 아마도 세 번째가 아닐까 한다. 그러나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 이를 증명할 방법은 사실상 없는 듯하다. 그만큼 어원은 밝혀내기 어려운 것이고, 그래서 기록이 중요하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4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9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884
70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006
69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589
68 호두까기 인형 바람의종 2010.05.29 11445
67 호래자식(후레자식) 바람의종 2007.04.27 14729
»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490
65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169
64 호분차 온나! file 바람의종 2010.03.26 12589
63 호송 / 후송 바람의종 2010.03.06 13649
62 호스테스 바람의종 2008.02.20 11483
61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289
60 호우, 집중호우 / 큰비, 장대비 바람의종 2009.07.29 8375
59 호치키스 바람의종 2010.03.06 10102
58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785
57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017
56 호프 바람의종 2011.11.21 13223
55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2.09.19 8614
54 혹성, 행성, 위성 바람의종 2010.07.21 11233
53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083
52 혼성어 風文 2022.05.18 1379
51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737
50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320
49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5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