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16 07:50

진정서

조회 수 629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진정서

언어예절

기록을 남긴다는 점에서 문서, 곧 적발을 중히 여기는데, 기록 역시 생각과 말의 갈무리다. 관청에서는 일이 주로 적발로 오간다. 그림·글·말·사진들도 디지털로 갈무리하는 데 이르렀지만 그 방식이 얼마나 안전하고 오래갈지는 모른다.

살다 보면 부탁할 일이 잦아진다. 부탁이나 당부로 안 되면 통사정을 한다. 관청을 상대할 때, 시비를 법으로 다투는 방식이 있고, 청원·탄원·진정·질의·건의·제안 … 들도 한다.

‘진정’은 같은 소리 다른 말이 열댓 가지가 넘는데, 실제 쓰이는 말은 서넛에 지나지 않는다. 흔히 ‘진정이 들어오다, 진정을 하다, 진정이 몇 건이다, 진정서를 내다’처럼 쓰는데, 이때는 진정(陳情)을 쓴다. ‘사정이 사촌보다 낫다’는 말처럼 개인이든 관청이든 사정도 잘만 하면 어느 정도 먹히는 까닭에 나온 말이다. 전문가를 거치지 않고 돈과 품을 덜 들이고 할 수 있는 일이 ‘진정’이다. 억울하고 답답할 때 관청에 적발로 하소연하는 것으로, 꽤 유용한 방식이다.

다만 염치·분수·의리·정분에 얽매여 참고 지내는 걸 미덕인 양 잘 활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저 ‘누가·언제·어디서·무엇을·어떻게·왜’ 등 기본 얼개를 갖춰 사실을 더덜없이 엮으면 된다. 기사문체와 다를 게 없지만, 사정이나 억울함을 호소하는 점이 좀 특이하달까.

남에게 억울한 짓을 하지 말아야겠지만 그런 일을 당했을 때 참기만 해서는 사회가 맑아지지 않는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470
» 진정서 바람의종 2009.07.16 6293
2973 진저리 바람의종 2007.03.28 8024
2972 진작에 바람의종 2010.03.07 7586
2971 진이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30 14440
2970 진안주 바람의종 2010.10.30 14037
2969 진보적 바람의종 2009.11.19 9465
2968 진무르다, 짓무르다 바람의종 2010.07.21 19889
2967 진면목 바람의종 2012.10.09 10306
2966 진력나다, 진력내다 바람의종 2011.12.28 13364
2965 진고개와 긴고개 바람의종 2008.03.20 7474
2964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07
2963 진, 데님 바람의종 2010.05.07 10523
2962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7114
2961 직업에 따른 영웅 칭호 바람의종 2010.03.16 12801
2960 직성이 풀리다 바람의종 2008.01.30 14932
2959 직빵, 약방문 바람의종 2011.12.13 10683
2958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241
2957 지향, 지양 바람의종 2008.12.11 10856
2956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633
2955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022
2954 지프와 바바리 바람의종 2008.04.19 8645
2953 지천에 폈다 바람의종 2011.11.16 104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