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7 02:52

가드랬수

조회 수 632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드랬수

고장말

‘-드랬-’은 평안·황해의 ‘-댔-’, 제주의 ‘-어시-’와 마찬가지로 과거를 나타내는 토로서, 주로 평안·황해 쪽에서 쓴다. “넷날에 한 낸(아낙)이 늙두룩 아를 못나서 애타다가 갸우 아들을 하나 났넌데 이놈에 아레 아무것두 않구 먹기만 하는 믹재기드랬다.”(<한국구전설화> 평안편) 과거를 나타내는 ‘-었-’이 앞선 과거를 나타내려면 같은 형태를 겹쳐 쓰지만(-었었/았었-), ‘-드랬-’은 ‘-드랬드랬-’처럼은 쓰지 않는다. ‘-댔-’과 마찬가지로 ‘-었-’을 ‘-드랬-’ 앞에 쓴 ‘-었드랬-’이 앞선 과거를 나타낸다. “넷날에 떡돌이라는 아와 두터비라는 아레 있었드랬넌데 이 아덜 둘이는 여간만 친하딜 안했다.”(위 책) 경기·강원·경북 일부에서는 ‘-었드랬-’이 보인다. “모든 거이 정말 맘이 안 놓였드랬는지 오빠가 가시면서 ….”(<한국구비문학대계> 경기편) “그때에는 호랭이가 쌨드랬어요.”(위 책, 강원편)

‘-드랬-’은 단순히 있었던 일만을 나타낼뿐더러 과거에 어떤 일이 진행되고 있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잠을 자드랬는데 아덜이 과티는(떠드는) 바람에 못 잤다.”(<조선 방언학 개요> 김병제)

‘-드랬-’과 ‘-었드랬-’의 또다른 형태는 ‘-더랬-’과 ‘-었더랬-’이다. “방금 밥을 먹더랬다.”(<평북방언사전>) “산골짝으루다 집이 띄엄띄엄 있더랬어요.” “떡 글방을 채리고 있었더랬어요.”(<한국구비문학대계> 강원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4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896
3194 鬱陶項(울돌목) / 공짜 언어 風文 2020.07.05 2048
3193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26
3192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718
3191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179
3190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35
3189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00
3188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44
3187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780
3186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359
3185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24
3184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33
3183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260
3182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16
3181 가능성이 높다 바람의종 2010.03.04 11655
3180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46
3179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349
3178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16
3177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400
3176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777
3175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501
»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21
3173 가듯, 갈 듯 바람의종 2009.08.01 104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