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4 05:08

풍개

조회 수 10034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풍개

사람이름

효정 옹주가 애를 낳고 산후증으로 숨지자 중종은 부마인 조의정을 잡아들이라 했다. 옹주의 계집종 ‘풍가이’(豊加伊)를 시앗으로 삼으면서 조의정이 옹주는 종처럼, ‘풍가이’는 옹주처럼 대접했다고 한다. 옹주를 깔보고 소박받게 하였으니 ‘풍가이’를 의금부로 보내 죄를 물으라 하였다. 이 시절 대궐에서 투기가 심했다고 한다. 임금 사위는 시앗을 두지 못하였으며 어길 때는 어미와 함께 곤장을 맞기도 하였다.

‘풍가이’는 ‘풍가·풍개’(豊加·豊介)라고도 하였다. ‘풍개’는 고장말로 자두다. 자두는 ‘오얏’, 고장 따라 ‘옹아’로도 부른다. 사람이름에는 ‘갈마·감·능금·도토리·동백·딜위(찔레)·수영·잣’ 따위 말도 쓰인다. 갈매나무 열매인 ‘갈매’는 짙은 쪽빛을 띠어 검푸른 색을 ‘갈매빛’이라 하며, ‘갈마동·갈마고개·갈매못/갈마무시’처럼 땅이름에도 들어 있다.

‘수영’은 여뀟과 여러해살이풀로, ‘승아/싱아’로도 불리며 ‘수영이·수영대·수영손이’라는 이름에도 쓰였다. ‘잣’이 든 이름에 ‘잣금이·잣녜·잣달이·잣덕이·잣동이·잣산이’도 있다. 이름에 보이는 ‘늣티’는 느티나무인 듯하다.

조선의 왕족은 ‘李’(오얏 이)씨이므로, 대한제국 땐 우표를 ‘풍개’ 꽃으로 꾸몄다. 더위 먹은 입맛 돌리는 데 시큼하고 달콤한 자두, 제격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4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980
3216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276
3215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277
3214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277
3213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279
3212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279
3211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279
3210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280
3209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281
3208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282
3207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282
3206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283
3205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83
3204 ○○노조 風文 2022.12.26 1284
3203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286
3202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288
3201 ‘이’와 ‘히’ 風文 2023.05.26 1290
3200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292
3199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292
3198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294
3197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297
3196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300
3195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