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27 20:12

돟습니다레!

조회 수 6557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돟습니다레!

고장말

‘-레’는 말끝에 붙여 쓰는 평안도말이다. “날이 저물어서 그러니 하룻나주 자구 갑시다레.”(<한국구전설화> 평북편, 임석재) “날래 집이 가서 밥을 먹읍시다레.”(위 책) 표준어의 ‘-그려’와 대응되는 말로, 소설·영화·드라마 등에서 북녘 사람 말투를 표현할 때 쓰는 전형적인 표지다. “내레 피양에서 왔수다레.” “님제 참 용쑤다레, 참 잘 맡헸수다” “여보 님제레 용헌 점배치라문 뭐던지 다 잘 알갔수다레.”

“됐수다레, 그까짓 술 한 사발 가지고 내 목을 축이겠수. …”(<홍경래>, 문관식)처럼 ‘-레’는 말할이가 들을이에게 단호한 뜻을 드러내기도 하며, “그저 고맙수다레, 대장동무. 내레 기래서 우리 대장 동무가 최고야요.”(<돼지들>, 이정규) “아줌니, 고맙수다레. 내레 이 은혜는 잊지 않겠습다.”(<계수나무 향기는 바람에 날리고>, 박명애)와 같이 반갑거나 고마운 마음을 드러내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레’는 들을이에게 말할이의 느낌을 드러내거나, 말하는 내용을 강조하고 싶을 때 쓰는 전형적인 평안도말이다.

‘-레’의 또다른 형태는 ‘-게레’다. 다만, ‘-레’가 아주높임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이는 반면, ‘-게레’는 예사낮춤 말 뒤에 쓰인다는 점이 다르다. “돟습메게레”(<평북방언사전>, 김이협) “내레 잠이 안 와 죽갔네게레” “그만 못하웨게레(그만 못하네그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0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5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91
1170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391
1169 십팔번, 가라오케 바람의종 2008.09.29 7088
1168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477
1167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19
1166 밤을 지새다, 지새우다 바람의종 2008.09.27 12562
1165 작니?, 작으니? 바람의종 2008.09.27 6610
1164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05
»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557
1162 몇일, 며칠 바람의종 2008.09.26 6694
1161 결단, 결딴 바람의종 2008.09.26 8570
1160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26
1159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881
1158 바람의종 2008.09.26 5197
1157 윗옷, 웃옷 바람의종 2008.09.25 7829
1156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284
1155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29
1154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847
1153 당신은 누구시길래 바람의종 2008.09.24 8251
1152 딛었다, 디뎠다 바람의종 2008.09.24 8898
1151 맨날, 만날 바람의종 2008.09.24 7418
1150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58
1149 있냐? 없냐? 바람의종 2008.09.23 89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