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9 04:19

참 좋지다

조회 수 6257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참 좋지다

고장말

‘-이다’는 서남부 경남인 하동·남해·통영·거제 등과 전남 동부인 광양·여천·순천 등지에서 말끝에 붙여 쓰는 말이다. ‘-이다’는 표준어의 ‘-요’처럼 들을이를 높이는 말이다. “요 동니 당골들은 다 떠나갔어이다.”(<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 거제도 편) “옛날에 우리 할부지가이다, 여 등너메 조그만 논도가리가 있었는데 ….”(위 책) “지끔 가몬 은제 오십니까이다?” 모음 뒤에서 ‘-이다’는 ‘-다’로 쓰이기도 한다. “닭장사하는 사람이 있어다.” “야, 그 질로는 없어, 없었어다.”(위 책)

‘-이다’의 또다른 형태는 ‘-이더’인데, 창원·함안·의령·김해 등지에서 쓰인다. “으제 갔어이더.” 모음 뒤에서는 ‘-더’로 쓰이기도 한다. “참말로 좋지더.” 이때 ‘-이더’는 표준어 ‘-ㅂ니다/습니다’와 대응하는 경상도말 ‘-이더’와는 다른 것이다. “괜찮으이더. 걱정 마이소!” “그 날짜를 내가 어긋치이 미안하이더.”(위 책 경주·월성군 편)

동사 어간에 붙여 쓰는 경상도말 ‘-이더’는 경기도말 ‘-이다’와 같다. “어머니, 나 장가가이다.”(위 책 경기 강화 편) “당신도 소용없이다.”(위 책)

경남·전남 일부에서 쓰이는 ‘-이다’는 ‘-요’와 대응하는 ‘-라우(전라도), -마씀/양(제주도), -유(충청도), -예(경상도)’ 등과 같이 어느 지역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말은 아니다. ‘-이다’는 섬진강 주변에서 쓰이는 특징적인 말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4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884
2974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056
2973 숫구미 바람의종 2008.09.03 7794
2972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47
2971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689
2970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138
2969 바람의종 2008.09.06 5415
2968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693
2967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681
2966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15
2965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684
»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57
2963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7970
2962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899
2961 바람의종 2008.09.19 7412
2960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594
2959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64
2958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58
2957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830
2956 바람의종 2008.09.26 5193
2955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880
2954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525
2953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