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4 06:17

나비나물

조회 수 598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비나물
 



 


풀꽃 이름을 지을 때 그 모양이나 습성이 닮았을 때 흔히 동물 이름을 가져다 붙이는데, 보통 동물 이름이 붙을 경우 ‘닭/범/꿩/노루’ 등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거나 친근하게 여겨지는 것들이 붙는다. 곤충 이름 중에서는 ‘파리/모기’ 등을 붙이지만 모양을 본딴 것은 아닌데, 나비는 하늘거리는 모양이 예뻐서 ‘풍접초’(風蝶草)처럼 한자말 이름에도 자주 붙는다.

‘나비나물’은 봄·여름에 산과 들에 나는 어린잎을 나물로 해 먹는다. 여름·가을에 붉은자주색 꽃이 피는데, 봉오리가 벌어졌을 때 두 장씩 마주 나는 꽃잎이 나비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꽃에 꿀이 많아서 나비나물이라는 이름이 무색지 않다. 한약이름으로도 ‘왜두채’(歪頭菜)라 하여 현기증 등을 치료하고, 피로를 없애는 등 몸이 허한 사람의 기력을 회복하게 하는 효능을 지닌 귀한 산나물이다.

잎이 큰 ‘큰나비나물’, 크기가 작은 ‘애기나비나물’, 잎이 좁고 긴 ‘긴잎나비나물’, 광양만으로 흘러드는 백운산 골짜기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 푸른자주색 ‘광양나비나물’ 등의 종류가 있다. 나비나물은 동물 이름으로 식물을 일컬은 예쁘고도 달콤한 이름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9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6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04
3128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645
312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518
3126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528
3125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80
3124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485
3123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592
3122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687
3121 띄어쓰기 특례 風文 2022.01.11 1893
3120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313
3119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699
3118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321
3117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661
3116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555
3115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27
3114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656
3113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470
3112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365
3111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91
3110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593
3109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821
310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1245
3107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5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