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0 03:38

기윽 디읃 시읏

조회 수 1110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윽 디읃 시읏

남녘의 현행 한글맞춤법에서 ‘ㄱ·ㄷ·ㅅ’의 이름은 ‘기역·디귿·시옷’이다. 북녘의 조선어철자법에서는 ‘기윽, 디읃, 시읏’이다. 다른 자음의 이름은 모두 같다. 자음 이름에는 규칙이 있다. 자음에 모음 ‘이’를 결합한 첫 음절과, 모음 ‘으’에 해당 자음을 결합한 둘째 음절을 이름으로 한다. ‘치읓·키읔·티읕·피읖·히읗’ 등이 그것이다.

이런 차이는 왜 생겼을까? 한글 자음과 모음의 이름은 최세진이 1527년에 지은 ‘훈몽자회’에서 비롯되었는데, 관습적으로 쓰이는 이름을 인정한 남녘 규범과 통상적인 이름을 규칙에 맞도록 바로잡은 북녘 규범의 차이 때문이다.

훈몽자회는 어린이용 한자 학습서인데 한자 공부를 위해 한글(훈민정음)로 음을 달았다. 이 책에 한글의 쓰임과 음을 익힐 수 있도록 한글 자음과 모음을 한자로 소개했는데, 그것이 한글 자모 이름으로 굳어진 것이다. ‘ㄱ’을 ‘其役’(기역)으로 적어서 ‘기’의 첫소리와 같고, ‘역’의 끝소리와 같다고 설명한 것이다. ‘ㄴ’은 ‘尼隱’(니은)으로 적었다.

‘ㄱ·ㄷ·ㅅ’을 ‘기역·디귿·시옷’으로 적은 이유는? 한자 가운데 ‘윽, 읃, 읏’으로 발음되는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윽’은 발음이 비슷한 ‘역’(役)으로 적고, ‘ㄷ’은 ‘池末’으로, ‘ㅅ’은 ‘時衣’으로 적은 뒤 ‘末, 衣’에는 표시를 해 두었다. 그 표시는 훈독, 곧 한자의 뜻으로 읽으라는 것이다. ‘귿 말’(끝 말)자를 ‘귿’으로 읽고, ‘옷 의’자를 ‘옷’으로 읽으면, ‘디귿, 시옷’이 된다. ‘池’는 16세기에 ‘디’로 발음되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7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3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214
3150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617
3149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617
3148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618
3147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620
3146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620
3145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25
3144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626
3143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27
3142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628
3141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630
3140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630
3139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630
3138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631
3137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644
3136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645
3135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647
3134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648
3133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652
3132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652
3131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652
3130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654
3129 단골 風文 2023.05.22 16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