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8

해오라기난초

조회 수 866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오라기난초

풀꽃이나 이를 박은 사진을 보면, 탄성이 절로 날 때가 있다. 사람이 만든 어떤 예술품도 신의 수준을 절대 따라가지 못하나니, 어쩜 이렇게 생길 수가! 할 정도로 빛깔·모양이 멋지고 신기한 것 중에 ‘해오라기난초’가 있다. 활짝 핀 모습이 날개를 펴고 나는 해오라기를 닮았다. ‘해오라비난초’라고도 하는데, ‘해오라비’는 ‘해오라기’의 경상도 고장말이다. ‘해오라기’의 ‘해’는 ‘희다’와 통한다. 이는 ‘풀’에서 ‘푸르다’가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해’에서 ‘희다’가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라기’는 해오라기가 ‘해오리’로도 불린 것을 보면, ‘오리’와 연관된 말일 수 있겠다. ‘해오라기’를 백로(白鷺)로 일컫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백로·해오라기·왜가리는 다르다. 백로는 이 셋을 통틀어 이르며, 흔히 까마귀와 맞견주는 백로가 실은 중백로인데, 이 꽃은 해오라기보다는 중백로를 닮았다. 날아가는 해오라기보다 꽃이름이 더 멋진데, 실제로 그 모습까지 금방이라도 꽃대에서 날아오를 듯한 까닭이다. “해오라비조는 곁에서/ 물뱀의 새끼를 업고 나는 꿈을 꾸었다”는 백석의 시 ‘늙은 갈대의 독백’처럼 동물과 식물이 소통하는 자연의 어울림을 여기서 본다.
 


 
[해오라기난초]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4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9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991
3326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545
3325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348
3324 푼돈 바람의종 2007.03.31 8886
3323 바람의종 2007.03.31 8579
3322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786
3321 하염없다 바람의종 2007.04.01 11137
3320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369
3319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1019
3318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264
3317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642
3316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387
3315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368
3314 행길 바람의종 2007.04.25 11522
3313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8095
3312 불구하고?/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10598
3311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7149
3310 관해/대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149
3309 호래자식(후레자식) 바람의종 2007.04.27 14979
3308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762
3307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957
3306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738
3305 위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71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