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29

수표

조회 수 739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표

현금 대신 쓰는 수표(手票)의 기원은 13세기 유럽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32년께 일본 수표법이 준용된 ‘조선민사령’에 처음으로 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 이전부터 거래할 때 수표와 비슷한 ‘어음’이 널리 쓰였다. 조선 때 상평통보가 널리 쓰였는데, 무겁고 부피가 크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개성 상인들은 종이에 금액, 날짜, 채무자 이름 등을 적고, 엽전 대신 사용했다. 이것이 지금의 어음으로 발전했다고 한다.

북녘에서도 ‘수표’를 사용할까? 북녘에서도 ‘수표’를 쓰는데 그 뜻이 다르다. 북녘말 ‘수표’(手票)는 ‘서명’ 또는 ‘사인’(sign)을 말한다.

“금컵 수상자에게서 기념으로 수표를 요구하다.”(우리말글쓰기 연관어대사전)

북녘에서는 수표를 서명·사인의 뜻으로만 쓰기에 보기로 든 글은 오해의 소지가 없다. 하지만 남녘말 ‘수표’로 해석하면 완전히 다른 뜻이 된다. 북녘말 ‘수표’는〈조선말사전〉(1961)에서도 확인되므로 그 이전부터 쓰이던 말로 보이는데, 남녘 사전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서명’은 북녘에서도 쓰이고, ‘사인’은 ‘싸인’으로 적는다.

한편, 예전에 쓰던 서명 방식으로 ‘수결’(手決)이 있다. ‘수결’은 ‘서명·사인·수표’와 달리 이름이 드러나는 방식이 아닌 기호처럼 쓰였다. 이는 조선 말 개항 이후 도장에 그 자리를 내줬다가 요즘의 서명(사인)으로 이어진다. 남북 두루 수표(돈)와 어음을 어음으로 통합하고, ‘사인·싸인, 수표’ 대신으로 ‘서명’으로 통일해 쓰는 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4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16
3194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352
3193 삼우제 바람의종 2007.07.20 10705
3192 상극 바람의종 2007.07.20 6175
3191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566
3190 섭씨 바람의종 2007.07.23 7640
3189 성곽 바람의종 2007.07.24 6309
3188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280
3187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318
3186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450
3185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537
3184 숙제 바람의종 2007.07.28 5011
3183 슬하 바람의종 2007.07.28 7001
3182 쌍벽 바람의종 2007.07.29 6242
3181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676
3180 아성 바람의종 2007.07.30 8524
3179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395
3178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093
3177 애로 바람의종 2007.07.31 6686
3176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508
3175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364
3174 양재기 바람의종 2007.08.02 11200
3173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2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