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29

수표

조회 수 7397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표

현금 대신 쓰는 수표(手票)의 기원은 13세기 유럽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32년께 일본 수표법이 준용된 ‘조선민사령’에 처음으로 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 이전부터 거래할 때 수표와 비슷한 ‘어음’이 널리 쓰였다. 조선 때 상평통보가 널리 쓰였는데, 무겁고 부피가 크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개성 상인들은 종이에 금액, 날짜, 채무자 이름 등을 적고, 엽전 대신 사용했다. 이것이 지금의 어음으로 발전했다고 한다.

북녘에서도 ‘수표’를 사용할까? 북녘에서도 ‘수표’를 쓰는데 그 뜻이 다르다. 북녘말 ‘수표’(手票)는 ‘서명’ 또는 ‘사인’(sign)을 말한다.

“금컵 수상자에게서 기념으로 수표를 요구하다.”(우리말글쓰기 연관어대사전)

북녘에서는 수표를 서명·사인의 뜻으로만 쓰기에 보기로 든 글은 오해의 소지가 없다. 하지만 남녘말 ‘수표’로 해석하면 완전히 다른 뜻이 된다. 북녘말 ‘수표’는〈조선말사전〉(1961)에서도 확인되므로 그 이전부터 쓰이던 말로 보이는데, 남녘 사전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서명’은 북녘에서도 쓰이고, ‘사인’은 ‘싸인’으로 적는다.

한편, 예전에 쓰던 서명 방식으로 ‘수결’(手決)이 있다. ‘수결’은 ‘서명·사인·수표’와 달리 이름이 드러나는 방식이 아닌 기호처럼 쓰였다. 이는 조선 말 개항 이후 도장에 그 자리를 내줬다가 요즘의 서명(사인)으로 이어진다. 남북 두루 수표(돈)와 어음을 어음으로 통합하고, ‘사인·싸인, 수표’ 대신으로 ‘서명’으로 통일해 쓰는 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3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8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841
319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466
3193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7792
3192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7942
3191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371
3190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606
3189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148
3188 빌레와 바위 바람의종 2008.03.18 6945
3187 바람의종 2008.03.18 6621
3186 입뇌리·물퉁게 바람의종 2008.03.18 10227
3185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324
3184 진고개와 긴고개 바람의종 2008.03.20 7470
3183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672
3182 단고기 바람의종 2008.03.20 7444
3181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518
3180 오랫도리 바람의종 2008.03.22 8000
3179 임·님 바람의종 2008.03.24 10671
»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397
3177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480
3176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183
3175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033
3174 꽝포쟁이 바람의종 2008.03.25 7862
3173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4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