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28

임·님

조회 수 1066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임·님

임·님은 예부터 썩 높은 이나 귀한 이를 이를 때 쓴 말이다. 임금의 ‘임’이나 사랑하는 ‘임’이 그렇고, 뒷가지로 쓰는 ‘님’도 그렇다. 임금님이라면 맏높은 말에 다시 ‘님’을 붙여 지극히 높인다. 하느님·선생님·각시님·아드님·따님·서방님·손님·도련님·마님·샌님…들은 ‘님’이 아예 들러붙어 쓰이는 말들이다. 이 밖에도 ‘님’은 인격이 있는 지칭어에 붙어 높여 부르는 말을 만든다.

어버이를 높여 부르는 말은 무엇인가? 흔히 말하는 가친·부친·춘부장·선친·선대인, 모친·자당·자친·선대부인·선비 …처럼 살아 계시거나 돌아가신 어버이를 자신 또는 남이 가려가며 일컫는 높임말이 있는데, 이런 말들은 구별하기도 쉽잖고, 또 부르는 말이 아니라 모두 일컫는 말일 뿐이다.

옛시조나 글을 보면 아버님·어머님이 보이는데, 이 역시 글말이어서 실제로 어버이를 부를 때 썼는지는 알 수 없다. 대체로 자신의 아버지·어머니는 달리 높여 부르지는 않고, 남의 어버이를 높여 아버님·어머님이라 부른다. 예컨대 시집 온 며느리가 시가 부모를, 또 사위가 장인·장모를 부를 때는 ‘님’자를 붙여 불러야 자연스럽다. 할머님·할아버님·아주버님·아재뱀들도 주로 시집 온 며느리 쪽에서 쓰는 말이다.

“핏줄로 계산되는 친당·척당 사람에게는 ‘님’을 붙여서 부름말로 사용할 수 없다”(려증동)는 해석도 있고, 표준화법 쪽에서도 자기 어버이를 비롯한 친척을 부를 때 ‘님’을 붙여 부르지 않는 것을 자연스런 화법으로 여긴다. 다만 편지글 등 간접적으로 격식을 차리는 글말에서 ‘어버이’에 ‘님’을 붙여 쓰는 정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4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517
319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457
3193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7791
3192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7930
3191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364
3190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604
3189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143
3188 빌레와 바위 바람의종 2008.03.18 6945
3187 바람의종 2008.03.18 6614
3186 입뇌리·물퉁게 바람의종 2008.03.18 10213
3185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307
3184 진고개와 긴고개 바람의종 2008.03.20 7463
3183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665
3182 단고기 바람의종 2008.03.20 7440
3181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517
3180 오랫도리 바람의종 2008.03.22 7997
» 임·님 바람의종 2008.03.24 10664
3178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386
3177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477
3176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179
3175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029
3174 꽝포쟁이 바람의종 2008.03.25 7858
3173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4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