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2 16:06

오랫도리

조회 수 800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랫도리

옛날 서적을 읽다 보면 오늘날 쓰지 않는 말들이 나타날 때가 적잖다.〈열녀춘향수절가〉에서 이도령이 천자문을 읽자, 방자가 한 마디 던진다. “여보 도련님, 점잖은 사람이 천자는 또 웬일이오?”, “소인놈도 천자 속은 아옵네다.” 그러고는 “높고 높은 하늘 천, 깊고 깊은 따 지, 홰홰 칭칭 가물 현, 불타것다 누루 황”이라고 읽는 모습은 가히 웃음을 유발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실은 한문 공부의 첫걸음이라고 할 ‘천자문’ 풀이조차도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다. 그 가운데 하나가 ‘오라 문’이다.

홍양호의 〈북색기략〉에는 함북 방언에 문(門)을 뜻하는 ‘오라’가 있고, 덕(德)을 뜻하는 ‘고부’(高阜)가 있다고 한다. 함북 방언은 조선 초기 육진을 개척할 때 경상도 사람을 이주시켰으므로 신라 고어라고 할 수 있다. 황윤석은 영남 인본 천자문을 바탕으로 ‘오라’가 영남 고어라고 하였고, 객사에서 아이들이 대문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라고도 풀이하였다. 이처럼 ‘문’을 ‘오라’로 풀이한 예는 더 발견되는데,〈석봉 천자문〉의 ‘오라 문’이나,〈소학언해〉의 ‘문 오래며 과실 남글’[門巷果木]이 이에 해당한다.

그런데 고 김윤학 교수 연구에서, 강화 화도면에 ‘오랫도리’라는 밭이름이 있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한 동네 들머리에 놓인 이 밭을 ‘출입문에 해당하는 밭’이라고 생각하며 ‘오랫도리’라 불렀다는 것이다. ‘도리’는 ‘둘레’란 뜻이므로, ‘동리로 드는 문의 주위에 놓인 밭’이다. 땅이름에 우리말이 화석처럼 깃든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7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05
319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466
3193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7791
3192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7933
3191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367
3190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606
3189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143
3188 빌레와 바위 바람의종 2008.03.18 6945
3187 바람의종 2008.03.18 6619
3186 입뇌리·물퉁게 바람의종 2008.03.18 10225
3185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319
3184 진고개와 긴고개 바람의종 2008.03.20 7469
3183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668
3182 단고기 바람의종 2008.03.20 7444
3181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517
» 오랫도리 바람의종 2008.03.22 8000
3179 임·님 바람의종 2008.03.24 10664
3178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391
3177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479
3176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183
3175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033
3174 꽝포쟁이 바람의종 2008.03.25 7862
3173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4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