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0 02:37

어버이

조회 수 781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버이

자신을 ‘아버지!’ ‘어머니!’라고 부르는 아들딸을 둔 ‘어미·아비’가 얼마나 될까? 글말로는 흔히 쓰지만, 현실에서는 아이들 말로 ‘엄마!’ ‘아빠!’로 불리고, 그 아들딸들이 어른이 되고서야 ‘아버지·어머니’ 하는 호칭을 이따금 듣는 형편이다. 요즘 들어 아이들 앞에서 자신을, 어른들끼리 이야기할 때도 자신과 상대를 ‘아빠·엄마’로 일컫거나 부르기까지 하는데, 이는 아이말을 따르는 꼴인데다 제 어미·아비를 욕먹이는 셈이 된다.

할아버지·할머니도 ‘할배·할매’가 아이 말, 친근한 말로 쓰인다. 손주 앞에서는 자신을 ‘할아비·할미’라고 하는데, 할아버지·할머니, 할배·할매는 부르는 쪽의 말인 까닭이다. 아비/애비·아범, 어미/에미·어멈, 할아비/할애비·할아범, 할미·할멈을 보면 사람 따라 경우 따라 마땅한 말을 골라 쓰도록 우리말이 갖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버지·어머니를 ‘아바쌔·아바씨·아바이·아배·아버니·아버이·아베·아부니·아부씨·아부이·아부재·아부제·아부지·아브이 …/ 어마·어마니·어마씨·어마에·어마이·어매·어머이·어메·어메이·어멤·어무니·어무이·오만·오매·오메·옴마 …’들로 부르는데, 고장이나 집안·사람 따라 조금씩 다른 게 재미있다.

‘아버지·어머니’는 인류 공통어에 가깝기도 해서, 부탄·몽골·중국·스리랑카 등에서도 아빠를 ‘아빠/아버/아바’처럼 말한다. 아람말(옛히브리어)로도 아버지를 ‘아바’로 불렀다는데, 이는 하느님을 일컫기도 한다. 그러고 보면 ‘하느님 아버지’나 ‘어버이 수령’이 그렇게 낯선 표현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2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8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06
268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44
267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799
266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602
265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599
264 가듯, 갈 듯 바람의종 2009.08.01 10476
263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63
262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721
261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807
260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488
259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67
258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400
257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71
256 가능성이 높다 바람의종 2010.03.04 11694
255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96
254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332
253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97
252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52
251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407
250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834
249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77
248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55
247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