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2 12:20

한터와 자갈치

조회 수 910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터와 자갈치

‘한터’는 서울 대치동의 다른 이름이다. ‘한’은 ‘큰’에 해당하는 우리말이며, ‘터’는 ‘치’(峙)의 옛음인 ‘티’가 변화한 말이다. ‘티’가 구개음화해서 ‘치’로 바뀌지 않고 ‘터’로 변한 것은 장소를 나타내는 다른 말인 ‘터’가 있기 때문이다. ‘장터’, ‘새터’와 같이 특정한 장소를 이를 때 ‘터’가 쓰이는 경우는 매우 많다. ‘티’, 곧 ‘치’는 고개를 일컫거나 산이 우뚝 솟은 모습을 일컬을 때 쓰인다. ‘한티’가 ‘대치’로 맞옮겨진 것은 의미상으로도 매우 자연스럽다. 또한 ‘한터’도 어휘 관계를 고려할 때 자연스럽게 생성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터’가 ‘치’로 변화하는 경우도 있다. 부산 자갈치 시장은 ‘자갈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자갈치’는 등가싯과의 생선 이름이지만 자갈치가 많이 잡혀 붙은 이름인지는 알 수 없다. 자갈치 시장은 1946년에 생겨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 지역은 자갈투성이 땅이었기 때문에 ‘자갈터’라는 말이 붙었다고 한다. ‘자갈터’가 ‘자갈치’로 바뀐 셈이다. 간혹은 몽골어에서 자갈치가 ‘어부’를 뜻하는 말이므로, 자갈치 시장도 몽골어에서 온 것이 아닌가 추측하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자갈치 시장이 생겨난 시점을 고려한다면, 자갈치는 ‘자갈터’에서 유래한 말로, 점차 어류인 자갈치를 연상하게 했다고 봐야겠다. 오늘날 자갈치 시장에서 자갈을 구경하기는 어렵다. 현대식 건물 뒤에 시장 아지매들의 삶과 판잣집의 모습이 사라지고, ‘자갈터’ 흔적도 사라졌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8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3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28
3216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881
3215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30
3214 방편 바람의종 2007.07.07 6696
3213 배수진 바람의종 2007.07.08 7133
3212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095
3211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386
3210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082
3209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151
3208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591
3207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185
3206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428
3205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14
3204 보모 바람의종 2007.07.13 7054
3203 보필 바람의종 2007.07.14 7190
3202 복마전 바람의종 2007.07.14 6289
3201 복불복 바람의종 2007.07.16 7983
3200 불야성 바람의종 2007.07.16 6288
3199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842
3198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456
3197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294
3196 사족 바람의종 2007.07.18 6316
3195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