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9 07:17

새라새롭다

조회 수 956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라새롭다

‘새라새롭다’는 ‘새롭고 새롭다’ 혹은 ‘여러 가지로 새롭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다.

“강세호는 새라새로운 소식을 주어 대는 두칠의 말에 얼떨떨했다.”(415 문학창작단 ‘백두산 기슭’) “그가 전혀 알지 못하던 새라새로운 세계가 펼쳐졌다.”(조선말대사전)

뜻풀이에서도 짐작이 되지만 ‘새라새롭다’는 ‘새롭다’와 ‘새롭다’가 결합된 말이다. 앞에 결합된 ‘새롭-’이 ‘새라’로 변했다. 이렇게 말이 반복된 말로 ‘가늘디가늘다, 높디높다, 쓰디쓰다’ 들이 있는데, 이 방식을 ‘새롭다’에 적용해 보면 ‘새롭디새롭다’가 된다. ‘새라새롭다’와 같은 방식은 그리 익숙하지는 않지만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낱말의 음절 수가 많아지면 쓰기에 불편하기 때문이다. ‘새롭다’의 반복이 ‘새롭 새롭다’나 ‘새로새롭다’로 되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새롭새롭다’는 발음의 불편함, ‘새로새롭다’는 부사 ‘새로’가 연상되는 문제 등이 아니었을까 짐작해 본다.

말을 반복해서 쓰는 것은 ‘빨리빨리’와 같이 어찌말에서 더 활발한데, 그림씨에서도 어간 반복을 널리 쓴다면, 토박이말 그림씨의 조어력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새라새롭다’의 방식은 ‘-롭다’로 끝나는 형용사를 활용하는 데 유용하다. ‘새롭다’와 비슷한 짜임을 가진 말로 ‘괴롭다·외롭다·의롭다·이롭다’ 등이 있다. 이들 말을 반복하여 새말로 만들어서 ‘괴라괴롭다, 외라외롭다’ 식으로 써 보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39
3216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74
3215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474
3214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475
3213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478
3212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79
3211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482
3210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484
3209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484
3208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484
3207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486
3206 ○○노조 風文 2022.12.26 1487
3205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489
3204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490
3203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493
3202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495
3201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497
3200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498
3199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498
319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503
3197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506
3196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09
3195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5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