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5 21:06

재개비

조회 수 713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개비

‘재개비’는 재의 티끌이다. “반반히 불타버린 동네쪽에서는 아직도 재개비가 흩날리고 매캐한 파벽토냄새가 풍겨왔다.” (피바다)
“비방울이 후둑후둑 떨어졌다. 벌겋게 널린 숯불바닥에 구름처럼 김이 피여오르고 재개비가 흩날렸다.”(시대의 탄생 1)

‘재’라고 해도 될 것을 왜 ‘재개비’라 했을까? ‘재가 흩날린다’면 ‘많은 재가 날리거나 재가 조금 날리는 것’을 두루 나타내는데, ‘재개비가 흩날린다’면, ‘많은 재가 날리는 것’은 아니다.

재개비의 ‘개비’는 일상적으로 많이 쓰인다. ‘성냥개비, 장작개비’ 등이 그렇다. 심지어 ‘팔랑개비, 바람개비’도 같은 것이라 생각된다. ‘개비’가 본디‘가늘고 길쭉한 토막의 낱개’를 뜻하는데, 풍차처럼 바람에 돌아갈 수 있도록 ‘개비’를 붙여서 만들었기에 그렇게 이름 짓지 않았을까.

'깨비’도 마찬가지다. 북녘말 ‘동이깨비’와 남북이 같이 쓰는 ‘지저깨비’가 있다. ‘개비’가 ‘깨비’로 쓰이는 것은 발음에 이끌려 굳어진 탓이다. ‘재개비, 성냥개비, 장작개비’도 두루 ‘깨비’로 소리난다. ‘동이깨비’는 말 그대로 질그릇인 ‘동이’가 깨진 조각을 말한다. 지저깨비는 ‘지저분하다’와 ‘개비’의 결합으로 보이는데 ‘지저분한 조각’이다. 남북 모두 나무를 패거나 깎을 때 나오는 나뭇조각을 이르고, 북녘에서는 나무 이외의 대상에도 쓰인다.

“곡괭이는 비척거리며 튕겨오를뿐 콩크리트에서는 작은 지저깨비도 일지 않았다.”(평양시간)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0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61
3238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249
3237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250
3236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252
3235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52
3234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53
3233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54
3232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254
3231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55
3230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256
3229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256
3228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260
3227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261
3226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262
3225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264
3224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265
3223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267
3222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267
3221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269
3220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272
3219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273
3218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276
3217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2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