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4 03:30

중국의 언어

조회 수 1055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중국의 언어

중국은 한족과 쉰다섯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다. 다민족 국가인 만큼 언어 사용도 복잡하다. 한족들은 흔히 한어라 일컫는 중국말을 쓴다. 중국말은 중국-티베트 말겨레에 든다. 이 말겨레에 드는 말에는 중국말, 티베트말, 미얀마말이 있다. 중국의 소수민족들은 모두 그들의 토박이말을 지니고 있지만, 중국말 세력에 밀려 대부분 이중 언어생활을 한다. 그러나 젊은이일수록 그들 자신의 말보다는 중국말에 더 익숙해 있다. 이들 토박이말은 대부분 알타이 말겨레에 든다.

중국말은 방언이 많기로 유명하다. 그리고 같은 한어라 하지만, 사실은 방언이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언어라 할 정도로 그 차이가 크다. 서로 다른 방언을 쓰는 사람들끼리 만나 대화를 하면 의사소통이 안 될 정도다. 그래서 베이징말을 바탕으로 하며 보통화라는 표준말을 만들어 온 국민에게 교육하여 이 말을 통해 전국 어디서나 누구와도 다 의사소통된다. 상하이는 ‘오’방언을 쓰는 지역이고, 홍콩 지역은 ‘월’방언이 쓰인다.

이러한 중국말의 가장 큰 특성은 원래 하나의 낱말이 하나의 음절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론적으로 말하자면 음절수만큼만 낱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낱말을 늘이려면 한정된 음절을 여러번 활용해야 한다. 그래서 한 음절을 여러번 쓰려고 높낮이를 달리하여 네 가지의 서로 다른 소리를 내어 쓰고 있다. 이를 성조라 한다. 같은 연유로 중국에서 한 개념을 한 글자로 표기하는 뜻글자를 만들게 된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9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5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17
3238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556
3237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557
3236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558
3235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58
3234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559
3233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560
3232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561
3231 순직 風文 2022.02.01 1562
3230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562
3229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567
3228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570
3227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570
3226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572
3225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573
3224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575
3223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576
3222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577
3221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78
3220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580
3219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580
3218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581
3217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5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