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0 15:34

엄리대수와 아시

조회 수 841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엄리대수와 아시

‘호태왕비문’에서, “(추모왕이 하늘의) 시킴을 따라 수레를 몰고 남쪽으로 순행하여 내려오는데, 부여 땅 엄리대수를 지나가게 되었다”라는 기록은 흥미로운 풀이를 하게 한다. 왜냐하면 이 지역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안시성의 위치와도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엄리대수’와 ‘안시’는 어떤 관계에 있을까?

이에 대한 흥미로운 해석은 황윤석의 <이재집>에 나타난다. ‘화음방언자의해’에서 황윤석은 신라 옛말에 ‘아시새’, 곧 ‘어시새’가 있다고 하였다. 그가 어떤 자료를 바탕으로 이러한 해석을 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려가요 <사모곡>에도 나타나듯이 우리말에서 ‘어시’는 ‘어머니’, 또는 ‘부모’란 뜻을 지닌다. 또한 경남 함안의 옛이름이 ‘아시량’이다.

안시성을 봉황성이라 부른 기록은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윤석은 ‘봉황’은 ‘부헝’(부엉이)을 한자음으로 적은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이 풀이는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어머니’나 ‘부모’ 또는 ‘크고 평안함’을 뜻하는 토박이말 ‘아시’를 ‘안시’라는 한자음으로 적었다는 설명은 매우 설득적이다. 또한 <삼국사기> 동명성왕 조에서는 이 강의 이름을 ‘엄사수’ 또는 ‘개사수’라고 표현하였다. ‘엄사’는 ‘엄리’보다 ‘어시’에 더 가깝다.

이처럼 ‘엄리대수’와 ‘아시’가 동일계 어휘라고 한다면, 삼국의 언어가 매우 동질적이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비록 고구려와 신라의 정치 세력은 달랐다고 할지라도 우리 조상들의 말은 같은 뿌리를 갖고 있음을 땅이름이 보여주는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9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5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231
3238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631
3237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633
3236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633
3235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634
3234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635
3233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636
3232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638
3231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641
3230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641
3229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645
3228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645
3227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647
3226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648
3225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649
3224 순직 風文 2022.02.01 1653
3223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653
3222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654
3221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655
322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658
3219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658
3218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658
3217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6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