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8 16:47

남새

조회 수 674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남새

‘남새’는 북녘말이 아니다. 대체로 북녘말이라면 ‘북녘에서 쓰임이 확인되거나 북녘 사전에 있는 말 가운데 남녘 사전에서 확인되지 않는 말’이다. 남새는 남북 두루 쓰고 사전에도 실렸으므로 북녘말이라고 할 수는 없다. 여기서 다루는 까닭은 그만큼 남새가 남녘에서 잊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평양 거리에는 ‘남새 상점’이란 간판이 흔히 보이고, ‘남새국, 남새닭알말이, 남새말이빵, 남새볶음, 남새비빔국수, 남새전골, 남새지짐’처럼 각종 음식 이름에도 두루 쓴다. ‘채소·야채’도 〈조선말대사전〉에 있으나 토박이말인 남새를 쓰도록 권장하고, ‘채소·야채’에서는 뜻풀이를 하거나 예문을 달지 않았다.

남녘에서도 남새를 안 쓰는 것은 아니지만 간판이나 교과서·공문서·언론 등 공식적인 곳에는 거의 쓰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채소에서 뜻풀이를 하고, 남새는 채소 풀이를 보도록 하는 식이다. 채소를 기본 단어로 본 것이다. 교과서와 일상생활에서 잘 볼 수 없으니 점차 남새를 안 쓰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남새가 북녘에만 남을 것은 시간문제다.

남새와 채소는 뜻과 쓰임이 같아 결국 하나만 남게 될 것이다. 남새를 살리자면 단어 쓰임에서 구별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일본식 한자말 ‘야채’라는 말이 최근 요리 이름에 많이 쓰이는데, 음식 이름에서 야채 대신 남새를 써 보면 어떨까? ‘남새샐러드, 남새수프, 소시지남새볶음’처럼 말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29
224 ‘팜므파말’ 바람의종 2011.12.22 13363
223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422
222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213
221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773
220 ‘첫날밤이요’ 바람의종 2010.02.21 9705
219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8981
218 ‘쫓다’와 ‘쫒다’ 風文 2023.07.01 2095
217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260
216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120
215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145
214 ‘이다’‘아니다’와만 결합하는 ‘-에요’ 바람의종 2010.01.09 6903
213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401
212 ‘이’와 ‘히’ 風文 2023.05.26 1431
211 ‘으’의 탈락 바람의종 2010.06.19 11085
210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481
209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561
208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675
207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635
206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543
205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092
204 ‘앗다’와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0.04.18 14207
203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69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