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7 13:18

굿

조회 수 815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굿

글자에 적힌 것만 참된 줄로 알던 역사학에서는 중국 글자를 빌려 써놓은 우리 겨레의 삶이 중국 따라 하기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땅밑에 파묻힌 삶의 자취를 찾고 이름없는 백성의 삶으로 눈길을 돌린 고고학·인류학·민속학이 일어나 살펴보니까 우리 겨레의 삶이 동아시아 문명을 밝히고 이끌어온 횃불이었음이 두루 드러나고 있다. 이처럼 자랑스런 지난날 우리 겨레 삶의 뿌리에 ‘굿’이 있고, 굿 한가운데 ‘서낭’이 있다.

굿은 사람이 서낭을 모시고 함께 어우러져 서로 주고받는 노릇이다. 사람과 서낭이 한자리에서 만나 뜻을 주고받으며 서로 사랑을 나누는 몸짓이 굿이다. 하느님은 아픔과 서러움에 시달려 울부짖는 사람의 바람을 언제 어디서나 귀담아 들으며 서낭을 보내어 어루만져 주지만 사람은 그런 서낭을 눈으로 보고 귀로 듣지 못한다. 굿은 그런 사람에게 서낭을 보고 들을 수 있게 해준다.

굿의 임자는 하느님이고 서낭이지만 굿을 벌이는 노릇은 하느님이나 서낭이 몸소 하지 않아서 굿을 벌이는 몫을 ‘무당’이 맡는다. 무당은 사람과 서낭을 맺어주는 고리 노릇을 하며 굿을 다스린다. 무당이 서낭을 굿판으로 맞이하고, 사람의 바람을 서낭에게 올려주며, 서낭의 꾸짖음과 어루만짐을 사람에게 내려주고, 서낭과 사람이 서로를 주고받아 어우러지게 하며, 마침내 서낭을 본디 자리로 보내준다. 이런 굿이 지난날 하느님과 서낭을 믿으며 동아시아 문명을 이끌면서 살아온 우리 겨레 삶의 뿌리였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1519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811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2998
    read more
  4. 끌끌하다

    Date2008.02.16 By바람의종 Views9867
    Read More
  5. 굿

    Date2008.02.17 By바람의종 Views8157
    Read More
  6. 호태왕비

    Date2008.02.17 By바람의종 Views9306
    Read More
  7. 라틴아메리카 언어

    Date2008.02.18 By바람의종 Views9698
    Read More
  8. 남새

    Date2008.02.18 By바람의종 Views6819
    Read More
  9. 한글과 우리말

    Date2008.02.19 By바람의종 Views7599
    Read More
  10. 원추리

    Date2008.02.19 By바람의종 Views6395
    Read More
  11. 엄리대수와 아시

    Date2008.02.20 By바람의종 Views8351
    Read More
  12. 아메리카 토박이말

    Date2008.02.20 By바람의종 Views8172
    Read More
  13. 쓰겁다

    Date2008.02.20 By바람의종 Views11239
    Read More
  14. 슬기와 설미

    Date2008.02.21 By바람의종 Views8783
    Read More
  15. 애기똥풀

    Date2008.02.21 By바람의종 Views6263
    Read More
  16. 큰 바위

    Date2008.02.22 By바람의종 Views8089
    Read More
  17.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Date2008.02.22 By바람의종 Views8502
    Read More
  18. 누겁다/ 서겁다

    Date2008.02.22 By바람의종 Views7222
    Read More
  19. 뜰과 마당

    Date2008.02.23 By바람의종 Views7685
    Read More
  20. 꽃다지

    Date2008.02.23 By바람의종 Views7964
    Read More
  21. 난친이 바위

    Date2008.02.24 By바람의종 Views7392
    Read More
  22. 중국의 언어

    Date2008.02.24 By바람의종 Views10551
    Read More
  23. 재개비

    Date2008.02.25 By바람의종 Views7294
    Read More
  24. 맑다와 밝다

    Date2008.02.27 By바람의종 Views6997
    Read More
  25. 이팝나무

    Date2008.02.27 By바람의종 Views1151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