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6 13:58

남산 신성비

조회 수 91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남산 신성비

‘경주 남산 신성비’는 6세기 말께 경주 남산에 성을 쌓으면서 기록한 비문이다. 이 비문은 1934년 제1 비를 시작으로 모두 아홉 개가 발견됐는데, 축성과 관련된 이두문과 축성인이 적혀 있다. 이 이두문은 “신해년 2월26일 남산 신성을 지을 때, 법대로 지은 지 3년에 붕파된 것은 죄를 줄 일로 삼아 교지에 따라 맹서하는 일”로 시작된다. 축성 관련자 이름에는 직책과 출신지가 기록된다. 예컨대 ‘아량라두 사훼 음내고 대사’(阿良旅 沙喙 音內古 大舍)는 “아량촌 순시관(라두)은 사훼부의 음내고(인명) 대사(직함)”로 풀이할 수 있다. 여기서 ‘아량’은 〈삼국사기〉지리지에 나오는 ‘아시량’인데, 법흥왕 때 신라에 통합되었다. ‘아시량’은 이두식으로 풀면 ‘아래’가 되며, 우리말을 한자음으로 적은 것으로 보면 ‘아시’가 된다. ‘아시’는 ‘어시’, 곧 ‘어이’나 ‘엇’이 되니 ‘어머니’를 뜻하는 말로도 볼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 금석문을 통해 증명될 때가 많다는 점이다. 얼마 전 한 일본 학자가 독도 문제를 거론한 적이 있다. 그는 “한국 사람은 모두 독도가 한국땅이라고 알고 있다. 그렇지만 그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일본 사람은 20%만이 독도가 일본땅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20%의 일본인은 그것을 매우 논리적으로 설명한다”라고 하였다. 역사 기록과 발굴 유적을 두루 살피는 일은, 우리의 말글, 역사를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87
224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383
223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80
222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379
22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379
220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377
219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377
218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376
217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376
216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375
215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73
214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372
213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372
212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371
211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371
210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368
209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367
208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367
207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63
206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362
205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360
204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359
203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3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