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5 16:12

서낭

조회 수 719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서낭

‘서낭’은 사람한테로 와서 사람과 더불어 지내면서 사람이 도움을 청하면 슬프고 괴로운 삶을 어루만져 기쁘고 즐거운 삶으로 바꾸어주는 하느님의 심부름꾼이다. 아직도 온 나라 곳곳에 지난날 삶의 자취가 남은 마을에는 서낭의 자취도 사라지지 않고 있다. 우리 고향에도 여태 당산이 있는데 거기에는 새마을운동이 일어나 베어질 때까지 아름드리 당나무가 한 해 내내 왼새끼를 발목에 두르고 서 있었고, 당나무 곁에는 일제가 마지막 발악을 하며 헐어서 불태우던 날까지 당집이 있었다. 당집은 서낭이 와서 머무는 집이라 ‘서낭당’이 본디 이름이고, 당나무는 서낭이 하늘과 땅으로 오르내리도록 사다리 노릇을 하는 거룩한 나무며, 당산은 서낭당과 당나무를 싸잡아 서낭이 노니는 거룩한 터전이었다.

서낭을 서낭당 바깥으로 모셔 내려면 머무를 자리를 갖춰야 하는데, 그것이 다름 아닌 ‘서낭대’다. 정월 초나흘부터 보름까지 마을에 지신밟기가 벌어지면 풍물패 맨 앞에는 언제나 서낭이 내린 서낭대가 앞장서서 이끌었다. 초나흘 새벽 그해 당산을 맡은 산주를 앞세운 풍물패가 서낭당에 가서 내림굿을 벌여 서낭을 내려 모신 서낭대를 마을로 데려온다. 그리고 보름날 저녁에 달집을 태우고 마무리 파지굿을 치고 나면 다시 서낭당으로 데려가 서낭은 방안 제단에 모시고 장대만 추녀 밑에 걸어두는 것이었다. 글자에 매달린 사람들은 아직도 이런 서낭을 중국 ‘성황’(城隍)이 들어온 것이라 하지만 알고 보면 우리네 서낭이 중국으로 건너간 것임이 틀림없을 것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6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625
3260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731
3259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167
3258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349
3257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677
3256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610
3255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38
3254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215
3253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878
3252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299
3251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822
3250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342
3249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826
3248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8010
3247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946
3246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873
3245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452
3244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265
3243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852
3242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584
3241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560
324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287
3239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6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