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4 14:17

두만강과 여진어

조회 수 868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만강과 여진어

언어 접촉은 땅이름에도 그 흔적을 남긴다. 일본의 ‘고마현’이 백제의 ‘웅진’과 관련이 있듯이, ‘두만강’도 여진어의 잔재임은 널리 알려져 있다.〈용비어천가〉에는 ‘두만강’을 풀이하면서, “여진의 속어로 만(萬)을 두만(豆漫)이라 부른다”는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여진어 모습을 담고 있는 땅이름은 꽤 여러 가지다. 이기문 교수는 〈세종실록지리지〉를 고찰하면서, 함북 종성의 유래를 살핀 바 있다. 지리지 기록에 “호인(여진)들은 종을 일컬어 동건(童巾)이라 했는데, 부내에 동건산이 있어 그로부터 종성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했다. 또한 “동건산은 종성부 북쪽에 있는데, 종을 엎어놓은 형상으로 그 위에는 돌로 쌓은 성이 있고, 성안에는 연못이 있다”고 풀이했다.

‘동건’은 때로 ‘동관’(潼關)으로 적을 때도 있는데, 여진어로는 ‘퉁건’이다. 그런데 ‘퉁건’은 본디 ‘북’을 뜻하는 말이었다. 이에 해당하는 우리말은 ‘쇠붑’이다. 곧 ‘북’을 뜻하는 ‘동건’이 ‘종’으로 옮겨지면서 ‘종성’이라는 땅이름을 남겼는데, 이는 ‘북’과 ‘종’을 뒤섞어 쓰는 풍습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밖에 여진어의 땅이름으로 경성의 다른 이름인 ‘우롱이’ 또는 ‘목랑고’, 마천령의 옛날 이름인 ‘이판대령’ 등도 있다. 야인이 ‘소’를 ‘이판’이라 불렀다는 기록이나 여진어에서 ‘거울’을 뜻하는 ‘무러구’란 말이 있었던 것을 보면, 비록 겨레는 흩어지고 문화는 흐려졌을지라도 언어의 흔적은 끊임없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2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96
326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425
3259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428
3258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431
3257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432
3256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436
3255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436
3254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437
3253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438
3252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439
3251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439
3250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441
3249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444
3248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444
3247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445
3246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447
3245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447
3244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448
3243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448
3242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449
3241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452
3240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452
3239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4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