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2 09:55

백두산

조회 수 812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백두산

땅이름이나 사람 이름 가운데는 서로 다른 이름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같은 뜻을 갖고 있는 이름이 많다. 백제를 건국한 온조는 아버지 주몽왕이 북부여에서 낳은 유리를 태자로 삼자 형인 비류와 함께 남으로 내려와 나라를 세웠는데, 그 이름이 ‘십제’(十濟)였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나오는 이 기록에서 우리는 ‘온조’(溫祚), ‘십제’, ‘백제’(百濟)라는 사람 이름과 나라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세 이름은 같은 대상을 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자어 ‘백’(百)에 해당하는 우리말로 ‘온’이 있으며, ‘십’(十)에 해당하는 말은 ‘열’이기 때문이다. 곧 ‘백제’와 ‘십제’는 ‘온제’와 ‘열제’에 해당하는 한자말이다. 다만 ‘온’과 ‘열’이 어떤 관계에 있을지에서는 확실한 답을 구하기 어렵다. 그러나 삼국시대의 국어 모음에서는 ‘오’와 ‘여’가 비슷한 음으로 소리 났을 수도 있다.

백두산의 다른 이름인 ‘개마산’(蓋馬山)이나 ‘불함산’(不咸山)도 마찬가지로 볼 수 있다. 최남선은 ‘불함’이 ‘밝음’을 뜻하는 우리말이라고 풀이한 바 있는데, ‘밝음’이나 ‘흰색’은 의미상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황윤석의 〈화동방언자의해〉에서 ‘개’는 ‘희’의 음이 변화한 것이며, ‘마’는 ‘마리’, 곧 한자어 두(頭)와 같은 뜻이라는 해석은 ‘개마산’과 ‘백두산’이 같은 뜻의 말임을 증명한다. 고려 때까지의 문헌에서는 보이지 않던 ‘장백산’이라는 이름이 후대에 나타난 것을 보더라도 백두산은 우리의 고유 명산이었음이 틀림없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2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491
3260 옹알이 風文 2021.09.03 1192
3259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192
3258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192
3257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193
3256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194
3255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194
3254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195
3253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195
3252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197
3251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197
3250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199
3249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02
3248 김 여사 風文 2023.05.31 1202
3247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204
3246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205
3245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205
3244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206
3243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07
3242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208
3241 까치발 風文 2023.11.20 1209
3240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211
3239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