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19:46

‘돌미’와 ‘살미’

조회 수 824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미’와 ‘살미’

서울 금천구 독산동이나 김포시 양촌면의 석산은 모두 ‘돌미’라 불리던 지역이었다. ‘돌미’에 들어 있는 ‘미’는 ‘산’을 뜻하는 ‘뫼’가 변한 말이다. 이처럼 산을 나타내는 말이 ‘미’로 변화한 땅이름은 매우 많다. 달이 뜨는 산을 뜻하는 ‘월출산’이나 ‘월악산’은 ‘달나미’, 또는 ‘달미’로 불린다.


그런데 ‘미’가 붙은 땅이름이라고 하여 모두 산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충북 중원(충주)의 ‘살미’는 산과는 관련이 없다. 여기에 붙은 ‘미’는 ‘들판’을 뜻하는  ‘가 변화한 말이다.  ‘ 는 〈훈몽자회〉에도 나오는데, 한자 ‘야’(野)를 ‘ 야’로 풀이하였다. 또한 〈두시언해〉에도 ‘누른 흙  두듥엔 하늘 닭이 춤추놋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뫼’와   ‘는 소리가 비슷해서 모두 ‘미’로 바뀔 수 있다. 이처럼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말을 동음이의어라 부른다.

흥미로운 사실은 일상의 언어생활에서는 동음이의어가 생겨날 경우, 뜻을 변별하기 위해 어느 한 낱말은 다른 말로 대체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예컨대 ‘계절’을 뜻하는 ‘녀름’이 머릿소리규칙에 따라 ‘여름’으로 변화하면, 본디 있던 ‘여름’은 ‘열매’로 바뀐다. 그런데 땅이름에 나타나는 동음이의어는 이처럼 자유로운 변화를 보이지 못한다. 충북 제천에서는 ‘살미’를 ‘미산’이라 부르는데, 이 땅이름은 ‘쌀이 산처럼 쌓였다’는 전설보다는 ‘미’의 동음이의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8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4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57
202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474
201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092
200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2087
199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601
198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871
197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430
196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670
195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650
194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896
193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430
192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590
191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912
190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997
189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8092
188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867
187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505
186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2127
185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481
184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932
183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306
182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92
181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6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