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02:11

별내와 비달홀

조회 수 876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별내와 비달홀

뜻이 같은 한자말과 토박이말이 합친 말이 많다. ‘역전앞’이나 ‘처가집’이 대표적인 경우다. 언어학자들은 같은 뜻을 합쳐 이룬 낱말은 말의 경제적인 차원에서 불합리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적절한 말이 아니라고 한다. 따라서 ‘역전’이나 ‘처가’로 써야 바른 표현이라고 한다.

그런데 한자말과 토박이말의 합성어가 전혀 새로운 말을 만들어낼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족발’은 ‘족’(足)이나 ‘발’만으로는 뜻을 전할 수 없다. 왜 그럴까? 그것은 비록 ‘족’과 ‘발’이 같은 뜻일지라도 두 말이 합치어 새로운 대상을 가리키는 말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옛말 가운데는 ‘별’과 ‘낭’이 그런 보기에 해당한다. 전남 승주군에 있었던 ‘별량(별애)부곡’이나 <삼국사기>에 보이는 ‘압록수 이북의 미수복 지역’ 땅이름인 ‘비달홀’(비탈골)에 들어 있는 ‘별애’와 ‘비탈’은 비스듬한 모양의 지형을 나타내는 말이었다.

우리 옛말에는 ‘별’과 ‘낭’은 비슷하지만 다른 뜻의 말이었다. <동국신속 삼강행실도>의 “ㅈ.식을 업고 낭의 떨어져 죽으니라”라는 구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낭’은 ‘절벽’을 뜻하며, <동동>의 “6월 보름에 별헤 ㅂ.룐 빗 다호라”에 나오는 ‘별’은 절벽보다는 덜 가파른 비스듬한 지역을 나타낸다. 이 두 말이 합쳐서 ‘벼랑’이라는 말이 된 것이다. 특히 ‘별’은 물을 뜻하는 ‘내’나 ‘고개’를 뜻하는 ‘재’와 어울려 땅이름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깅기 남양주의 ‘별내’나 강원 통천의 ‘별재’는 이런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2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6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75
3282 악착같다 바람의종 2007.05.17 10128
3281 여염집 바람의종 2007.05.17 13529
3280 영락없다 바람의종 2007.05.18 10407
3279 주먹구구 바람의종 2007.05.18 7422
3278 주책없다 바람의종 2007.05.22 8551
3277 중뿔나게 바람의종 2007.05.22 11367
3276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527
3275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439
3274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166
3273 칠흑 같다 바람의종 2007.05.25 12613
3272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455
3271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596
3270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018
3269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140
3268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526
3267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288
3266 개안 바람의종 2007.05.30 7449
3265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108
3264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546
3263 계간 바람의종 2007.06.02 7075
3262 계륵 바람의종 2007.06.02 5953
3261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