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7 15:35

삼촌

조회 수 820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삼촌

중앙아시아에 강제로 끌려가 살고 있는 동포들이 쓰는 말을 ‘고려말’이라 한다. 19세기 함경도말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고모·이모를 고려말에서는 ‘아제’(=아재)라 한다. 흔히 아제라 함은 아저씨, 곧 남자숙항을 가리키는 사투리인데, 고려말에서 아주머니, 곧 여자숙항을 가리키는 게 특징이다. 현재 강릉말에서도 아제는 고모·이모·숙모를 가리킨다.

영어에서 남자숙항은 친삼촌이든 외삼촌이든 모두 uncle이라 하고, 여자숙항은 고모든 이모든 aunt라 한다. 터키말은 각각 다르게 부른다. 친삼촌은 emme, 외삼촌은 dayi, 고모는 amme, 이모는 hala라 한다.

아버지·어머니를 가리키는 말과 숙항을 가리키는 말이 같은 언어도 있다. 하와이말에서는 아버지·친삼촌·외삼촌이 모두 makuakane이고, 어머니·고모·이모는 모두 makuahine이다. 야노마모말에서는 아버지와 친삼촌은 haya로 같으나 외삼촌은 soaya로 다르다. 또한 어머니와 이모는 naya로 같으나, 고모는 yesiya로 다르다.

파푸아섬의 다니말 역시 아버지와 친삼촌은 opaije로 같고, 어머니와 이모는 akoja로 같다. 그런데 이 말에서는 나의 외사촌 자매를 가리키는 말이 어머니·이모와 같아 akoja라 부른다.

아프리카의 아칸말도 아버지와 친삼촌을 가리키는 말은 같아 agya이고, 어머니와 이모를 가리키는 말은 같아 ena다. 그뿐만 아니라 나의 고종사촌 형제를 가리키는 말이 아버지·친삼촌과 같아 agya라 부른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67
3304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84
3303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386
3302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386
3301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387
3300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387
3299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387
3298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391
3297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391
3296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392
3295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392
3294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394
3293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394
3292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394
3291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395
3290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395
3289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395
3288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396
3287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398
3286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398
3285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99
3284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400
3283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4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