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1 11:04

태백산과 아사달

조회 수 781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태백산과 아사달

신화는 그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를 반영한다.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신화’는 우리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가 담긴 것라고 할 수 있다. 하느님의 아들인 환웅이 아사달 신단수에 내려와 웅녀와 혼인하여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의 이름을 단군이라 불렀다는 게 단군신화의 내용이다. 이에 <신증동국여지승람>은 하늘에서 신인이 태백산 박달나무 아래로 내려와 나라를 세웠는데, 백성들이 그를 단군이라 부른 것으로 기록한 바 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우리는 두 문헌에 나온 기록을 통해 단군신화에 나타나는 ‘아사달’과 ‘태백산’이 같은 곳을 뜻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아사달’에서 ‘달’은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계 땅이름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한자어 ‘산’(山)과 같은 뜻을 지닌 말이며, ‘아사’는 ‘아침’의 어원에 해당하는 말로, 알타이어에 드는 퉁구스·터키·몽골어에서도 흔적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침’과 ‘밝음’, ‘태양’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렇기에 단군이 세운 나라를 ‘조선’(朝鮮)이라 부른 것도 자연스러운 일로 보인다. 아침을 밝히는 주체가 ‘해’라는 점을 고려하면, ‘태백산’은 ‘아사달’의 한자어인 셈이다. 더욱이 ‘태백산·소백산·백운산·백마산’에 나오는 ‘백’(白)은 모두 ‘태양’과 관련을 맺는데, 이는 ‘해’를 한자로 옮길 때 ‘백’(白)을 썼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곳곳에는 ‘해’와 관련된 땅이름들이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952
3304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401
3303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402
3302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403
3301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404
3300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406
3299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407
3298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407
3297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411
3296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411
3295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411
3294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412
3293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413
3292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413
3291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413
3290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414
3289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414
3288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414
3287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416
3286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416
3285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417
3284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418
3283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4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