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9 11:14

말과 글

조회 수 416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과 글

‘말’과 ‘글’을 뜻이 아주 다른 낱말로 보아 ‘말글’이라 쓰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글’은 말에서 나왔고 말의 한 가지에 지나지 않으며, ‘말’은 글을 낳았고 글을 싸잡는 것이기에 이들 둘은 서로 다른 낱말이 아니다.

‘말’은 사람의 마음을 담아서 주고받는 노릇이다. 마음을 담으려면 그릇이 있어야 하는데 조물주가 내려준 그릇이 목소리다. 목소리에다 마음을 담아서 주고받는 노릇이 본디 ‘말’이었다. 목소리는 하늘이 내려주어서 누구나 힘들이지 않고 쓸 수 있는 그릇이지만 곧장 사라져서 눈앞에 있는 사람밖에는 주고받을 수가 없다. 사람은 사라지지 않는 그릇을 찾아 나섰고 마침내 ‘글자’를 만들어 눈앞에 없는 사람과도 주고받기에 이르렀다. 글자의 그릇에 마음을 담아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으며 주고받는 말, 이게 곧 ‘글’이다. 이래서 이제 목소리의 말을 ‘입말’이라 하고, 글자의 말을 ‘글말’이라 한다.

글말은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눈앞에 없는 사람과도 주고받을 수 있어서 엄청난 도움이 되었으나 살아 숨쉬는 느낌을 지닌 목소리를 담을 수가 없어서 아쉬웠다. 사람은 우리가 살고 있는 바로 오늘에 와서 시간과 공간에 아랑곳도 없고, 살아 숨쉬는 목소리도 놓치지 않고, 게다가 눈앞에 보듯이 모습까지 담아서 주고받을 수 있는 새로운 그릇을 찾아냈다. 그것이 바로 ‘전자’다. 전신·전화·영화·방송을 거쳐 인터넷에 이르는 ‘전자 그릇’에 마음을 담아 주고받는 ‘전자말’이 나타났다. 말이 세 가지로 벌어진 것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79
3326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392
3325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169
3324 푼돈 바람의종 2007.03.31 8787
3323 바람의종 2007.03.31 8439
3322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651
3321 하염없다 바람의종 2007.04.01 10980
3320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191
3319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0906
3318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30
3317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520
3316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254
3315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266
3314 행길 바람의종 2007.04.25 11348
3313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7944
3312 불구하고?/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10494
3311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997
3310 관해/대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068
3309 호래자식(후레자식) 바람의종 2007.04.27 14787
3308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599
3307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820
3306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601
3305 위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70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