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6 03:57

모음의 짜임새

조회 수 594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음의 짜임새

언어학자 로만 야콥슨은 어린이가 말을 배울 때 가장 먼저 습득하는 모음은 [a]라고 한다. 그 다음 모음은 [u]와 [i]라고 한다. 그런데 실어증 환자가 말을 잃어가는 단계에서 맨 마지막에 잃어 버리는 것이 [u]와 [i], 그리고 [a]라고 한다. 여기서, 가장 기본이 되는 모음은 바로 [a], [u], [i]라 할 수 있다.

필리핀은 영어를 공용어로 쓰지만, 고유한 말은 타갈로그말이다. 이 말에는 모음이 세 개다. 바로 [a], [u], [i]이다. 모음 수가 적다고 온전하지 못한 말이라고는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모음 대신에 다른 요소가 분화되어 이를 보충해 주기 때문이다.

모음이 다섯인 말에는 이웃 일본말을 비롯해 스페인말·러시아말이 있다. [a], [u], [i] 셋에다 [e]와 [o]가 더 있다. 이렇게 몇 개씩 더해 가면 언어에 따라 모음의 짜임새가 다양해진다. 이탈리아말과 독일말은 짜임새는 다르지만 모음이 일곱이고, 터키말은 여덟, 프랑스말은 열하나다.

그럼 우리말은 모음이 몇이나 될까? 표준어 규정에서 정한 표준발음법에는 열 개를 든다. 그런데 지역과 나이에 따라 머릿속에 갈무리된 모음의 수는 각각 다르다. 나이 따라 [에]와 [애]를 구별하지 않기도 하고, 지역 따라 [어]와 [으]를 하나의 소리로 인식하기도 한다. [위]와 [외]를 겹모음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내 머릿속에는 모음이 몇 개나 들어 있을까?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7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95
114 말높이기 바람의종 2008.01.13 6528
113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625
112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8085
111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690
110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067
109 말다듬기 바람의종 2008.01.10 6585
108 말소리의 억양 바람의종 2008.01.10 6975
107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852
106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524
105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938
104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339
103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694
102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451
101 참말과 거짓말 바람의종 2008.01.07 9005
100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346
99 노무족 바람의종 2008.01.06 6461
»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947
97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459
96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793
95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974
94 자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4 7204
93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5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