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3 19:03

벌레

조회 수 740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벌레

가을이 깊어가면서 ‘메뚜기’가 뛰어다니고, 장독대에서 ‘귀뚜라미’가 울어대는가 하면, 따사로운 햇볕에 각종 벌레들이 스멀스멀 기어 다닌다. ‘벌레’는 ‘버러지’와 함께 표준말로 쓰인다.

‘벌레’의 15세기 형태는 ‘벌에’다. 이 당시의 표기 방식은 ‘몸애〉모매’처럼 연철 표기가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벌에’는 ‘버레’가 아닌 ‘벌에’로 적었다. ‘몰애’(沙)도 같은 유형이다. 제2음절에 쓰이는 ‘ㅇ’은 ‘ㄱ’이 약화되어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벌에’의 이전 형태는 ‘벌게’로 추정할 수 있고, ‘몰애’의 이전 형태는 ‘몰개’로 추정할 수 있다.

‘벌레’의 방언 형태는 ‘벌레, 버래, 버러지, 벌게, 벌거지’가 있다. ‘벌게’의 경우는 ‘벌에/버래’보다 오래된 형태다. 그래서 ‘벌게’의 경우 고장말에서는 ‘벌개, 벌기, 블기’ 등으로 나타나고, ‘벌레’는 ‘버래, 벌레, 버랭이’로 나타난다.

‘벌거지〉버러지’의 변화에서 보는 것처럼, ‘벌거지’도 ‘벌ㄱ’에 뒷가지 ‘-어지’를 연결해 쓰는 고어형이다. 방언에서는 ‘벌거지, 벌가지, 벌걱지, 블그니, 벌갱이’로 쓰인다. ‘버러지’는 ‘벌’에 접미사 ‘-어지’를 연결한 것으로 ‘벌러지, 버럭지, 버레기’가 나타난다.

여기서 우리는 ‘벌게, 벌거지’가 단순히 지방에서 쓰는 사투리가 아니라, 중세국어인 ‘벌에’보다 이전에 썼던 옛말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방언에는 이처럼 아주 오래된 말이 많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7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2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186
3348 X-mas 바람의종 2011.12.26 13431
3347 X세대 바람의종 2008.02.20 8402
3346 [re] 시치미를 떼다 file 바람의종 2010.11.17 13002
3345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212
3344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323
3343 ~ 화(化) 바람의종 2009.09.06 6851
3342 ~ㄴ 바 바람의종 2010.11.02 11158
3341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505
3340 ~겠다, ~것다 바람의종 2010.07.10 10523
3339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8989
3338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518
3337 ~노, ~나 바람의종 2010.09.05 8904
3336 ~는가 알아보다 바람의종 2009.09.27 8286
3335 ~다 라고 말했다 바람의종 2010.03.15 12124
3334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272
3333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465
3332 ~대, ~데 바람의종 2011.12.04 12968
3331 ~던가, ~든가 바람의종 2008.07.12 11924
3330 ~데 반해 / ~데 비해 바람의종 2010.02.28 17408
3329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449
3328 ~되겠, ~되세 바람의종 2009.03.30 6560
3327 ~든 / ~던 바람의종 2011.11.27 108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