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9 01:20

다르다와 틀리다

조회 수 710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르다와 틀리다

사뭇 다른 말인데 요즘 너나없이 헷갈려 쓴다. 이는 국어사전 탓이 아니다. 사전들은 헷갈리게 풀이하지 않았다. 이것을 헷갈리도록 한 것은 내것을 팽개치고 남것만 좇아서 살아온 우리네 삶이지만, 국어교육 탓도 들추지 않을 수 없다. 국어교육이 줄곧 우리말의 노른자위인 토박이말을 제대로 가르치지 않고 엉뚱한 일에 매달려 왔기 때문이다.

‘다르다’는 드러나는 모습을 서로 견주어 풀이하는 그림씨 낱말이고, ‘틀리다’는 해놓은 일을 과녁에 맞추어 가늠하는 움직씨 낱말이다. “한 가지에서도 아롱이 조롱이가 열린다더니 같은 부모한테 난 언니 아우가 어찌 저리 다를까?” “아니, 어제 내가 다시 해놓은 계산에서도 틀린 데가 있었습니까?” 보다시피 ‘다르다’는 언니와 아우의 모습을 서로 견주면서 쓰고, ‘틀리다’는 해놓은 셈을 사실이라는 과녁에 맞추면서 썼다.

두 낱말이 헷갈리는 데는 까닭이 있다. 둘 다 견주기를 하기 때문이다. ‘다르다’도 견주기를 해서 나타나고, ‘틀리다’도 견주기를 해서 가려낸다. 그러나 ‘다르다’는 두 가지를 서로 견주어 나타나고, ‘틀리다’는 과녁이나 잣대와 견주어 드러난다. 아무런 잣대도 없이 두 가지를 나란히 견주면 ‘다르다’와 ‘같다’로 갈라지고, 어떤 과녁이나 잣대를 세워놓고 거기에 견주면 ‘틀리다’와 ‘맞다’로 가려진다. 이런 뜻가림을 내버리고 요즘은 덮어놓고 ‘틀리다’고만 한다. 그만큼 마음은 무뎌지고 삶도 거칠어진 것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2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8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83
3370 '전(全), 총(總)'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7 14979
3369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124
3368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683
3367 (공장)부지 바람의종 2007.10.13 7631
3366 (뒷)바라지 風磬 2006.11.16 6972
3365 (밤)참 風磬 2006.11.30 6190
3364 -가량(假量) 바람의종 2010.06.20 10364
3363 -분, 카울 風文 2020.05.14 1537
3362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8993
3361 -시- ① / -시- ② 風文 2020.06.21 1671
3360 -씩 바람의종 2010.01.23 9259
3359 -지기 바람의종 2012.05.30 11337
3358 -화하다, -화되다 바람의종 2009.08.07 9491
3357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260
3356 12바늘을 꿰맸다 바람의종 2010.12.19 12801
3355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228
3354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風文 2022.09.20 952
3353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091
3352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131
3351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401
3350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492
3349 CCTV 윤안젤로 2013.05.13 279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