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6 15:18

값과 삯

조회 수 598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값과 삯

‘값’은 남 것을 내 것으로 만들 적에 내놓는 값어치다. 거꾸로, 내가 가진 것을 남에게 주고 받아내는 값어치기도 하다. 값을 받고 팔거나 값을 치르고 사거나 하는 노릇이 잦아지면서 때와 곳을 마련해 놓고 사람들이 모여서 팔고 샀다. 그 때가 장날이고, 그 곳이 장터다. 닷새 만에 열리는 장날에는 팔려는 것을 내놓는 장수와 사려는 것을 찾는 손님들로 장터가 시끌벅적하다. 값을 올리려는 장수와 값을 낮추려는 손님이 흥정을 할 수 있도록 미리 내놓는 값의 말미가 ‘금’이다. 금을 미리 내놓는 노릇을 ‘금을 띄운다’ 하고, 그렇게 띄워 놓은 금이 ‘뜬금’이다. 뜬금이 있어야 흥정을 거쳐서 값을 매듭지어 거래를 하는데, 금도 띄우지 않고 거래를 매듭지으려 들면 ‘뜬금없는’ 짓이 된다.

‘삯’은 내 것으로 만들며 치르는 ‘값’과는 달리 남 것을 얼마간 빌려 쓰는 데 내놓는 값어치다. ‘찻삯’이나 ‘뱃삯’은 차나 배를 타는 데 치르는 값어치, ‘찻값’이나 ‘뱃값’은 차나 배를 사는 데 치르는 값어치다. 삯에서 종요로운 것은 ‘품삯’이다. ‘품’이란 사람이 지닌 힘과 슬기의 값어치고, 그것을 빌려 쓰고 내는 것이 ‘품삯’이다. 품은 빌려주고 삯을 받기도 하지만 되돌려 받는 ‘품앗이’가 본디 제격이었다. 가진 것이 없어서 품을 팔아 먹고사는 사람을 ‘품팔이’라 하는데, 품을 빌리지 않고 사려면 ‘품삯’이 아니라 ‘품값’을 치러야 한다. 요즘 세상은 거의 모든 사람이 품을 팔아야 살게 되어서 ‘품값’ 때문에 세상이 온통 시끄럽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89
92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207
91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1200
90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200
89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198
88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197
87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197
86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197
85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197
84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風文 2022.07.26 1196
83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195
82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195
81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194
8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風文 2022.05.12 1194
79 쓰봉 風文 2023.11.16 1194
78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風文 2022.09.20 1192
77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190
76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風文 2022.08.30 1190
75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風文 2022.05.25 1187
74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186
73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風文 2022.08.04 1186
72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風文 2022.06.21 1184
71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1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