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3 07:53

누다와 싸다

조회 수 775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누다와 싸다

며칠 들이께 스펀지라는 티브이 방송에서 재미나는 구경을 했다. 돼지 다섯 마리를 새 우리에 넣고 똥오줌과 잠자리를 가릴지 못 가릴지 다섯 사람이 한 마리씩 맡아서 밤중까지 지켜보았다. 한 놈이 구석에다 오줌을 누자 다른 놈들이 모두 똥이나 오줌이나 그 구석에만 가서 잘 가려 누었다. 그런데 지켜보는 사람들은 돼지가 오줌이나 똥을 눌 때마다 한결같이 ‘쌌습니다!’ ‘쌌습니다!’ 했다. 박문희 선생이 유치원 아이들과 살면서 겪은 그대로였다.

“‘똥 오줌을 눈다’와 ‘똥 오줌을 싼다’를 가려 쓰지 않고 그냥 ‘싼다’로 써 버립니다. ‘똥 오줌을 눈다’는 말이 없어지고 있습니다. 변기에 눈 건지 바지에 싼 건지를 가려 쓰지 않으니 가려 듣지 못합니다. 이러니 생활이 이만 저만 불편한 게 아닙니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분명히 ‘똥을 눈다. 똥을 싼다’는 말을 가려 써 왔습니다.”(박문희, ‘우리말 우리얼’ 46호)

‘누다’와 ‘싸다’는 다스림으로 가려진다. ‘누다’는 똥이든 오줌이든 스스로 잘 다스려서 내보내는 것이고, ‘싸다’는 스스로 다스리지 못하고 내보내는 것이다. 그것은 사람에게나 짐승에게나 마찬가지다. 사람이나 짐승이나 어려서 철이 들지 않은 적에는 ‘싸고’, 자라서 철이 들면 ‘눈다.’ 철이 든 뒤에도 몸에 탈이 나면 사람이나 짐승이나 스스로 다스려 ‘누’지 못하는 수가 생기고, 그러면 ‘싸’는 수밖에 없다. 한편, 짐승의 삶이 사람과 달라서 저들은 잘 다스려 ‘누’지만 사람의 눈에 ‘싸’는 것으로 보일 수는 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4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04
3370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272
3369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257
3368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144
3367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361
3366 이중피동의 쓸모 風文 2023.11.10 1054
3365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067
3364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201
3363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082
3362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488
3361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394
3360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472
3359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124
3358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273
3357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167
3356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36
3355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399
3354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335
3353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1573
3352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535
3351 ‘쫓다’와 ‘쫒다’ 風文 2023.07.01 1969
3350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200
3349 존맛 風文 2023.06.28 15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