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4

책보따리·책보퉁이

조회 수 844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책보따리·책보퉁이

지금은 초등학생이나 대학생 가릴 것 없이 ‘책가방’을 메고 다니지만, 1970년대 이전만 해도 국민학생들은 ‘책보’를 들거나 메고 다녔다. 중학생이 되어 제복을 입게 되면서 비로소 ‘책가방’을 들고 다녔다. 넉넉한 집 아이들은 멜빵가방(란도셀, ransel)을 메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책보’였다. 책보는 ‘책보자기’, ‘책보따리’, ‘책보퉁이’로도 불렸는데, 국어사전에는 ‘책보’와 ‘책보자기’만 동의어로 올랐고,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수록되지 않았다.

“야, 빨리 책보따리 싸 가지구 나와.”(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며칠 전에 만석이가 책보따리를 챙겨 들고 나가면서 일러 주던 말이다.”(김춘복 〈쌈짓골〉) “나는 … 방으로 들어가서 책보퉁이를 내던지고, 서랍에서 도장을 꺼내 넣고 다시 나왔다.”(염상섭 〈만세전〉)
“아무도 책보퉁이를 들고 있지 않아서 몸과 마음이 모두 가벼웠다.”(이상문 〈황색인〉)

‘책보’와 ‘책보자기’는 ‘책을 싸는 보자기’를,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책을 보자기에 싸서 꾸린 뭉치’를 말하는 것이어서 뜻이 다르다. 따라서 ‘책보(책보자기)를 싸다’, ‘책보(보자기)를 풀다’ 등으로 쓰고,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메다’,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들다’ 등으로 구분해서 써야 하는데, 이 낱말들이 쓰인 용례를 보면 대부분 ‘책보따리’(책보퉁이)의 뜻으로 구분없이 쓰고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7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2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306
3414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782
3413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791
3412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791
3411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814
3410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821
3409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844
3408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風文 2022.10.09 849
3407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850
3406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858
3405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873
3404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風文 2022.09.10 873
3403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風文 2022.09.18 893
3402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904
3401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912
3400 외국어 선택하기 風文 2022.05.17 913
3399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921
3398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922
3397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925
3396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風文 2022.10.06 929
3395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935
3394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風文 2022.09.20 935
3393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風文 2022.05.25 9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