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8 01:18

우리

조회 수 9010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

대화 상황에는 반드시 사람이 등장한다. 이들을 문법에서는 인칭이라 한다. 말하는 이가 1인칭, 듣는 이가 2인칭, 이야기에 언급되는 이가 3인칭이다. 인칭이 대명사로 실현되면 인칭대명사다. 우리말의 1인칭 대명사는 ‘나’(단수)와 ‘우리’(복수)가 있다. 상대를 대접해서 말할 때는 ‘저’와 ‘저희’라는 낱말을 쓴다.

1인칭 복수 ‘우리’라는 말은 따져 보면 두 가지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인다. “우리는 전철 타고 갈 테니, 너희들은 버스로 가거라”라는 문장의 ‘우리’에는 말을 듣는 상대방인 ‘너희’는 제외돼 있다. 그러나 “그러지 말고 우리 함께 전철로 갑시다”의 ‘우리’에는 말을 듣는 상대방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우리’라는 대명사는 말하는 사람 쪽만 가리키기도 하고, 말하는 사람과 듣는 상대편까지 모두 포함하여 가리키기도 한다.

그런데 언어에 따라서는 이런 두 가지 의미를 구분하여 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내기도 한다. 알타이언어 가운데 그런 언어가 흔히 있다. 만주말을 보면 1인칭 복수대명사가 [be]와 [muse] 둘이 있다. [be]는 말하는 사람 쪽만 가리키고, [muse]는 말을 듣는 상대편까지 포함하여 가리킨다. “meni gurun”은 상대편 나라에 대하여 “우리 나라”라는 뜻이고, “musei gurun”은 “우리 두 나라 함께”라는 뜻이다. 몽골 옛말에도 ‘ba’와 ‘bida’의 구분이 있었다. 이러한 알타이언어의 특징이 우리말에는 없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46
26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977
25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960
24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946
23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936
22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22
21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921
20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912
19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908
18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875
17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869
16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860
15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850
14 또 다른 공용어 風文 2021.09.07 833
13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827
12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19
11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816
10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807
9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803
8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784
7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754
6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688
5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6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