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20 20:13

‘시월’ ‘오뉴월’

조회 수 16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시월’ ‘오뉴월’

해마다 이맘때가 되면 라디오에서 자주 나오는 노래가 있다. 낮은 바리톤 목소리에 유려한 소프라노 화음이 곁들여진 ‘시월의 어느 멋진 날에’이다. 고운 선율뿐만 아니라 ‘널 만난 세상 더는 소원 없어, 바람은 죄가 될 테니까’라는 아름다운 가사 덕에 결혼식 축가로도 자주 불린다.

그런데 이 노래 제목은 왜 ‘십월’이 아니고 ‘시월’일까? ‘십 일, 십 원, 십 점’ 등 ‘열’을 나타내는 한자 ‘十’은 모두 ‘십’으로 읽히는데, ‘월’과 결합할 때만 유독 ‘시월’로 발음한다. ‘유월’도 마찬가지로 ‘육월’이라 하지 않고 ‘유월’이라고 한다.

‘십월, 육월’ 대신 ‘시월, 유월’로 소리를 내는 것은 ‘활음조’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활음조란 인접해 있는 두 소리를 연이어 발음하기 어려울 때 어떤 소리를 더하거나 빼기도 하고, 때로는 다른 소리로 바꾸어서 발음하기 쉽고 듣기 부드러운 소리가 되게 하는 것이다.

‘한글맞춤법’에서는 ‘시월, 유월’의 ‘시’나 ‘유’처럼 한자의 본래 음이 변해서 사람들 사이에 널리 통용되는 발음이 있다면 그 소리에 따라 적도록 하고 있다. 굳이 그 한자의 본래 발음을 살려 ‘십월’이나 ‘육월’로 적지 않는다. 사람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말과 그 말을 적은 글이 서로 다르지 않게 하려는 ‘언문일치’ 원칙이 적용된 것이다.

활음조의 영향으로 본래의 음과 다르게 발음되는 예에는 ‘시월, 유월’ 말고도 ‘오뉴월, 초파일’ 등이 있다. 오월과 유월을 아울러 이를 때에는 ‘오륙월’이나 ‘오유월’이 아니라 ‘오뉴월’로 발음하고 표기해야 한다. ‘부처님 오신 날’도 ‘사월 초파일’이라고 하지 ‘초팔일’이라고 하지 않는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1936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343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2Dec
    by 바람의종
    2011/12/22 by 바람의종
    Views 13347 

    ‘팜므파말’

  5. No Image 16Jun
    by 風文
    2023/06/16 by 風文
    Views 1344 

    ‘파바’와 ‘롯리’

  6. No Image 30Apr
    by 바람의종
    2010/04/30 by 바람의종
    Views 12181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7. No Image 16Jan
    by 風文
    2023/01/16 by 風文
    Views 1739 

    ‘통일’의 반대말

  8. No Image 21Feb
    by 바람의종
    2010/02/21 by 바람의종
    Views 9690 

    ‘첫날밤이요’

  9. No Image 09Nov
    by 바람의종
    2009/11/09 by 바람의종
    Views 8957 

    ‘첫 참석’

  10. No Image 01Jul
    by 風文
    2023/07/01 by 風文
    Views 2051 

    ‘쫓다’와 ‘쫒다’

  11. No Image 16Jul
    by 風文
    2022/07/16 by 風文
    Views 1188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12. No Image 26Mar
    by 바람의종
    2010/03/26 by 바람의종
    Views 13110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13. No Image 18Dec
    by 바람의종
    2008/12/18 by 바람의종
    Views 8132 

    ‘자꾸’와 ‘지퍼’

  14. No Image 09Jan
    by 바람의종
    2010/01/09 by 바람의종
    Views 6899 

    ‘이다’‘아니다’와만 결합하는 ‘-에요’

  15. No Image 30Dec
    by 風文
    2023/12/30 by 風文
    Views 1329 

    ‘이고세’와 ‘푸르지오’

  16. No Image 26May
    by 風文
    2023/05/26 by 風文
    Views 1371 

    ‘이’와 ‘히’

  17. No Image 19Jun
    by 바람의종
    2010/06/19 by 바람의종
    Views 11052 

    ‘으’의 탈락

  18. No Image 06Dec
    by 風文
    2022/12/06 by 風文
    Views 1421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19. No Image 13Oct
    by 바람의종
    2007/10/13 by 바람의종
    Views 10495 

    ‘우거지붙이’ 말

  20. No Image 18Feb
    by 風文
    2024/02/18 by 風文
    Views 1577 

    ‘요새’와 ‘금세’

  21. No Image 28Nov
    by 風文
    2022/11/28 by 風文
    Views 1578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22. No Image 07Jan
    by 바람의종
    2008/01/07 by 바람의종
    Views 7508 

    ‘오빠 부대’

  23. No Image 06May
    by 風文
    2020/05/06 by 風文
    Views 2060 

    ‘엘씨디로’ / 각출-갹출

  24. No Image 18Apr
    by 바람의종
    2010/04/18 by 바람의종
    Views 14165 

    ‘앗다’와 ‘호함지다’

  25. No Image 19Jun
    by 바람의종
    2008/06/19 by 바람의종
    Views 6874 

    ‘앗다’ 쓰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