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고세’와 ‘푸르지오’

우리 집 근처엔 ‘이고세’라는 음식점과 ‘푸르지오’라는 아파트가 있다. 이들은 각각 상호와 상품명에 우리말을 활용한 것으로서 아주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둘 다 약간의 문제를 안고 있다.

먼저 ‘이고세’는 ‘이 곳에’를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을 상호로 쓴 것이다. 최근 인터넷 공간에서 우리말을 한글 맞춤법에 따르지 않고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과 유사하다. 그런데 그 둘 간에는 출발 지점이 완전히 다르다. 인터넷 공간에서는 빠르게 적기 위해서 그런 데 반해, ‘이고세’는 외국어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 그런 것이기 때문이다. 견과류 관련 상품을 제조, 판매하는 ‘머거본’이라는 상호도 마찬가지이다. 외국어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 ‘먹어 본’을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적은 ‘머거본’을 그 상호로 쓴 것이다.

다음으로 ‘푸르지오’는 한글 표기상으론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푸르지오’의 영문 표기가 ‘Prugio’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이 또한 얼마간 문제가 있다. ‘푸르지오’가 우리말의 형용사 ‘푸르-’를 활용한 것이라면 그 영문 표기는 ‘Pureujio’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Pureujio’라 하지 않고 ‘Prugio’라 한 것은 군말할 필요도 없이 외국어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호, 상품명 등에 우리말을 활용하는 것은 크게 환영 받을 만한 일이다. 현재보다 훨씬 더 우리말을 활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현재 상호, 상품명 등의 대부분이 외국어로 도배돼 있다시피 하기 때문이다. ‘이고세’, ‘푸르지오’ 등은 아주 고무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들 또한 외국어로 가장되어야만 하는 현실이 씁쓸하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4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9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905
3414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098
3413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058
3412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189
3411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251
3410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056
3409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07
3408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451
3407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028
3406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56
3405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456
3404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856
3403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8954
3402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125
3401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258
3400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610
3399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944
3398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139
3397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373
3396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527
3395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463
3394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170
3393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8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