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6 09:52

부사, 문득

조회 수 10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부사, 문득

부사(副詞)는 이름부터 딸린 식구 같다. 뒷말을 꾸며주니 부차적이고 없어도 그만이다. 더부살이 신세. 같은 뜻인 ‘어찌씨’는 이 품사가 맡은 의미를 흐릿하게 담고 있다. 글을 쓸 때도 문제아 취급을 당한다. 모든(!) 글쓰기 책엔 부사를 쓰지 말라거나 남발하지 말라고 한다. 좋은 문장은 주어, 목적어, 서술어(동사)로만 되어 있다는 것. 부사는 글쓴이의 감정이 구질구질하게 묻어나고 사실을 있는 그대로 담지 못하면서도 마치 그럴듯하게 묘사하고 있다는 착각을 심어준단다. (그러고 보니 이 칼럼의 분량을 맞출 때 가장 먼저 제거하는 것도 부사군.)

그래도 나는 부사가 좋다. 개중에 ‘문득’을 좋아한다. 비슷한 말로 ‘퍼뜩’이 있지만, 이 말은 ‘갑자기’보다는 ‘빨리’라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퍼뜩 오그래이’). ‘문득’은 기억이 마음속에 어떤 모습으로 자리 잡고 있는지 알아차리게 한다. 우리는 기억하는 걸 다 기억하지 않는다. 기억은 깊이를 알 수 없는 물속에 가라앉아 있다. 너무 깊이 있어 그 존재조차 모르고 있다가, 수면 위로 불쑥 튀어 오른다. 그래서 ‘문득’은 ‘떠오른다’와 자주 쓰인다.

망각했던 걸 복원하는 것만으로도, ‘문득’은 성찰적인 단어다. 예측 가능한 일상과 달리, 우연히 갑자기 떠오른 것은 정신없이 사는 삶을 잠깐이나마 멈추게 한다. 기억나지 않게 가라앉아 있던 기억이 떠오르면 자신이 겪어온 우여곡절이 생각난다. 작정하고 생각한 게 아니라, 이유도 모르게 솟아나는 게 있다니. 나에게 그런 일이, 그런 사람이 있었지. 돌이킬 수 없는 많은 것들이 우리를 두껍게 만들었다. 기대와 예상과 다르게 전개된 인생, 허덕거리면서도 잘 살아내고 있다.

당신은 이 가을에 어떤 부사가 떠오르는가.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1993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3502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4Oct
    by 風文
    2021/10/14 by 風文
    Views 1163 

    언어의 혁신

  5. No Image 21Sep
    by 風文
    2022/09/21 by 風文
    Views 1163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6. No Image 28Jun
    by 風文
    2022/06/28 by 風文
    Views 1164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7. No Image 06Feb
    by 風文
    2022/02/06 by 風文
    Views 117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8. No Image 01Nov
    by 風文
    2023/11/01 by 風文
    Views 1175 

    ‘내 부인’이 돼 달라고?

  9. No Image 01Sep
    by 風文
    2022/09/01 by 風文
    Views 1176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10. No Image 26Jul
    by 風文
    2022/07/26 by 風文
    Views 1177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11. No Image 10Oct
    by 風文
    2022/10/10 by 風文
    Views 1179 

    인과와 편향, 같잖다

  12. No Image 13Jul
    by 風文
    2022/07/13 by 風文
    Views 1180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13. No Image 05Aug
    by 風文
    2022/08/05 by 風文
    Views 1180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14. No Image 30Dec
    by 風文
    2023/12/30 by 風文
    Views 1182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15. No Image 20May
    by 風文
    2022/05/20 by 風文
    Views 1183 

    말과 상거래

  16. No Image 19Apr
    by 風文
    2023/04/19 by 風文
    Views 1183 

    내연녀와 동거인

  17. No Image 14Jun
    by 風文
    2022/06/14 by 風文
    Views 1187 

    동무 생각, 마실 외교

  18. No Image 16Jul
    by 風文
    2022/07/16 by 風文
    Views 1191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19. No Image 05Sep
    by 風文
    2022/09/05 by 風文
    Views 1192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20. No Image 11Oct
    by 風文
    2023/10/11 by 風文
    Views 1196 

    모호하다 / 금쪽이

  21. No Image 16May
    by 風文
    2020/05/16 by 風文
    Views 1197 

    24시 / 지지지난

  22. No Image 12Jul
    by 風文
    2022/07/12 by 風文
    Views 1197 

    노동과 근로, 유행어와 신조어

  23. No Image 01Feb
    by 風文
    2023/02/01 by 風文
    Views 1197 

    말의 세대 차

  24. No Image 10Nov
    by 風文
    2021/11/10 by 風文
    Views 1200 

    주어 없는 말

  25. No Image 25Jan
    by 風文
    2022/01/25 by 風文
    Views 1200 

    연말용 상투어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