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5 06:18

조의금 봉투

조회 수 12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조의금 봉투

사람의 일 중에서 형식과 절차가 제일 엄격히 갖춰진 것이 장례이다. 특별히 줏대 있는 집안이 아니라면, 장례식장에서 시키는 대로 빈소를 꾸미고 염습과 입관, 발인, 운구, 화장, 봉안 절차를 밟으면 된다. 문상객이 할 일도 일정하다. 단정한 옷을 입고 빈소에 국화를 올려놓거나 향을 피워 절이나 기도를 하고 상주들과 인사하고 조의금을 내고 식사한다(술잔을 부딪치면 안 된다는 확고한 금칙과 함께). 유일한(!) 고민거리는 조의금으로 5만원을 할 건가, 10만원을 할 건가 정도?

장례식장마다 봉투에 ‘부의’(賻儀)나 ‘조의’(弔儀)라고 인쇄되어 있으니, 예전처럼 봉투에 더듬거리며 한자를 쓰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이상한 일이지만, 예전에도 한글로 ‘부의’라고 쓰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

나는 급하게 가지 않는 한, 봉투를 따로 준비한다. 장례식장 이름까지 박혀 있는 봉투가 어쩐지 상업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빈 봉투에 ‘슬픔을 함께합니다’라는 식의 어쭙잖은 문구를 적는다. 글자를 쓰는 짧은 시간 동안이나마 다른 시간을 경험하는 일이겠거니 하면서(물론 별 소용 없는 일이다. 봉투의 쓸모는 ‘누가’와 ‘얼마’를 표시하는 데 있으니).

글 쓰다 죽은 어느 망자 빈소에 즐비하게 늘어선 조화 사이로 이런 문구의 조기를 본다. “우리 슬픔이 모였습니다. 보라, 우리는 우리의 도타운 글이 있나니.” 알 수 없는 생사의 갈림길에 올려놓은 힘없는 말이 발걸음을 잠시 멈추게 한다.

우리는 늘 언어 뒤를 따른다. 앞이나 옆이 아니라, 항상 뒤에 있다. 언어가 가자는 길로만 따라가고 있다는 자각이야말로 언어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기회다. 비록 새로운 말을 시도하자마자 그 또한 상투화의 길로 가지만.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2830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4332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30Nov
    by 風文
    2022/11/30 by 風文
    Views 1282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5. No Image 25Jan
    by 風文
    2022/01/25 by 風文
    Views 1284 

    법과 도덕

  6. No Image 25May
    by 風文
    2020/05/25 by 風文
    Views 1285 

    꼬까울새 / 해독, 치유

  7. No Image 13Apr
    by 風文
    2023/04/13 by 風文
    Views 1285 

    '김'의 예언

  8. No Image 02Jan
    by 風文
    2024/01/02 by 風文
    Views 1287 

    한 두름, 한 손

  9. No Image 21Jan
    by 風文
    2022/01/21 by 風文
    Views 1288 

    야민정음

  10. No Image 30May
    by 風文
    2020/05/30 by 風文
    Views 1289 

    매뉴얼 / 동통

  11. No Image 11Jul
    by 風文
    2022/07/11 by 風文
    Views 1289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12. No Image 15Nov
    by 風文
    2023/11/15 by 風文
    Views 1289 

    저리다 / 절이다

  13. No Image 26Jan
    by 風文
    2022/01/26 by 風文
    Views 1290 

    정당의 이름

  14. No Image 21Jul
    by 風文
    2022/07/21 by 風文
    Views 1290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15. No Image 23May
    by 風文
    2022/05/23 by 風文
    Views 1293 

    과잉 수정

  16. No Image 10Jun
    by 風文
    2022/06/10 by 風文
    Views 1293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17. No Image 08Oct
    by 風文
    2023/10/08 by 風文
    Views 1293 

    아니오 / 아니요

  18. No Image 28Oct
    by 風文
    2021/10/28 by 風文
    Views 1294 

    난민과 탈북자

  19. No Image 08Sep
    by 風文
    2022/09/08 by 風文
    Views 1295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20. No Image 22Dec
    by 風文
    2023/12/22 by 風文
    Views 1297 

    '-시키다’

  21. No Image 07Aug
    by 風文
    2022/08/07 by 風文
    Views 1298 

    이단, 공교롭다

  22. No Image 09Jun
    by 風文
    2022/06/09 by 風文
    Views 1299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23. No Image 09Nov
    by 風文
    2022/11/09 by 風文
    Views 1299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24. No Image 13Jun
    by 風文
    2022/06/13 by 風文
    Views 1300 

    개념의 차이, 문화어

  25. No Image 28Jan
    by 風文
    2022/01/28 by 風文
    Views 1301 

    외래어의 된소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