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1 19:25

귀 잡수시다?

조회 수 12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귀 잡수시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동방예의지국’이라고 불릴 만큼 예절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런 태도가 언어에도 반영돼 우리말에는 높임법이 매우 발달해 있다. 문장의 주체를 높이기 위해 ‘시’를 넣어 말하거나, 말을 듣는 상대에 따라 ‘했니?’, ‘했습니까?’처럼 어미를 다르게 선택해서 말한다. ‘진지, 생신, 잡수시다, 주무시다’처럼 윗사람에게만 쓰는 높임 어휘가 따로 존재하기도 한다.

그런데 때로는 높임말을 잘못 사용해서 곤란을 겪기도 한다. 흔히 틀리는 게 ‘귀 잡수시다’인데, 이게 잘못인 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얼마 전에도 “우리 할아버지는 귀가 잡수셔서 말을 잘 못 알아들으세요”라고 말하는 청년을 보았다. ‘귀가 먹으셨다’라고 해야 할 것을 어른에게 ‘먹었다’고 하기가 어려워서 ‘귀가 잡수셨다’고 한 것이다.

‘귀먹다’의 ‘먹다’는 ‘밥을 먹다’의 ‘먹다’와는 다른 말이다. 이때의 ‘먹다’는 ‘막히다’의 뜻을 지닌 옛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귀나 코가 막혀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다’는 뜻이다. 이 ‘먹다’는 코가 막힌 경우에도 쓸 수 있는데, 감기에 걸려 코맹맹이 소리를 낼 때 ‘코 먹은 소리’라고 하는 게 그런 예이다. 갑자기 귀가 막힌 것처럼 소리가 잘 안 들리거나 체한 것같이 가슴이 답답할 때 쓰는 ‘먹먹하다’나, 앞뒤가 꽉 막혀 답답한 사람을 가리킬 때 쓰는 ‘먹통’ 이 모두 이 ‘먹다’와 관련이 있는 말이다.

‘귀 잡수셨다’는 말은 동물의 귀를 음식으로 섭취했다는 뜻이 되므로 ‘귀먹다’의 높임말이 될 수 없다. 어른에 대해서 쓸 때에는 ‘귀가 먹으셨다’고 하면 된다. 그래도 어른께 ‘먹으셨다’고 말하기가 영 찜찜하다면 ‘귀가 어두우시다’나 ‘귀가 잘 안 들리신다’로 표현하면 될 것이다.

-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84
3392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507
3391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872
3390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866
3389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163
3388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303
3387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602
3386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22
3385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390
338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207
338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064
3382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727
3381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73
3380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097
3379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700
3378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426
3377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953
3376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972
337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435
3374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762
337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75
3372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407
3371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5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