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0 06:48

이중피동의 쓸모

조회 수 11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중피동의 쓸모

‘것이었던 것이었던 것이었다!’ 무성영화 시절 변사는 특유의 저 말투로 어떤 장면을 실감나게 강조했다. 저래야 영화의 맛이 살았다. 효과 만점. 모든 표현에는 그렇게 쓰는 이유가 있다.

신화처럼 완고하게 전해오는 명령이 있다. ‘이중피동을 피하라!’ 한 번으로 족한데 두 번이나 피동을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 정말 그런가? 안 써도 되는데 굳이 쓰는 이유가 있지 않겠나. 설명을 못 할 뿐이지 쓸모없는 게 아니다.

흥미롭게도 옛말에는 진정한 이중피동, 즉 피동접사를 겹쳐 쓰는 말이 꽤 있다. 예를 들면, ‘닫히이다, 막히이다, 잊히이다, 눌리이다, 밟히우다, 잡히우다’. ‘닫히다, 막히다, 잊히다’ 등은 오래전부터 피동사로 쓰였다. 시간이 흘러 이 말이 피동사인지 아닌지 흐릿해지니 ‘이’나 ‘우’를 붙여 피동의 의미를 더 선명하게 했다. 낡은 옷을 기워 입듯, 말도 닳아서 애초의 쓸모가 흐릿해지면 뭔가를 덧댄다. 피동사만으로는 피동의 의미를 나타내기엔 약해 보이니 ‘지다’를 덧붙였다. 장례를 치르는 자식이 육개장을 목으로 넘기며 “이런데도 밥이 먹혀지는군”이라고 할 수 있잖은가. 벌어지는 일에 대한 불가항력이랄까, 거리감의 강조랄까. 아니면, 변명의 장치랄까.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윤동주),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김춘수),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이용 ‘잊혀진 계절’). 익숙해져서 그런지 모르지만, ‘쉽게 쓰인 시, 잊어지지 않는 눈짓, 잊힌 계절’이면 참 어색하다.

사전이나 맞춤법 검사기의 구령에 맞춰 걷지 말자. 나의 감각을 맞춤하게 담을 수만 있다면 어떤 언어도 가능하다. 삶이 그렇듯.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332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4887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3May
    by 風文
    2022/05/23 by 風文
    Views 109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5. No Image 16Nov
    by 風文
    2023/11/16 by 風文
    Views 1105 

    부사, 문득

  6. No Image 13Feb
    by 관리자
    2022/02/13 by 관리자
    Views 110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7. No Image 22Dec
    by 風文
    2023/12/22 by 風文
    Views 1116 

    여보세요?

  8. No Image 17May
    by 風文
    2022/05/17 by 風文
    Views 1119 

    영어 절대평가

  9. No Image 15Aug
    by 風文
    2022/08/15 by 風文
    Views 1125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10. No Image 10Feb
    by 風文
    2022/02/10 by 風文
    Views 113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11. No Image 15Sep
    by 風文
    2021/09/15 by 風文
    Views 1133 

    편견의 어휘

  12. No Image 16Aug
    by 風文
    2022/08/16 by 風文
    Views 1133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13. No Image 11Oct
    by 風文
    2022/10/11 by 風文
    Views 1135 

    안녕히, ‘~고 말했다’

  14. No Image 10Feb
    by 風文
    2022/02/10 by 風文
    Views 1139 

    권력의 용어

  15. No Image 21Apr
    by 風文
    2023/04/21 by 風文
    Views 1148 

    댄싱 나인 시즌 스리

  16. No Image 31Oct
    by 風文
    2021/10/31 by 風文
    Views 114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17. No Image 09Jan
    by 風文
    2022/01/09 by 風文
    Views 1149 

    올바른 명칭

  18. No Image 27Aug
    by 風文
    2022/08/27 by 風文
    Views 1149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19. No Image 07Oct
    by 風文
    2022/10/07 by 風文
    Views 1155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20. No Image 10Nov
    by 風文
    2023/11/10 by 風文
    Views 1159 

    이중피동의 쓸모

  21. No Image 23Jun
    by 風文
    2022/06/23 by 風文
    Views 1164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22. No Image 26Jan
    by 風文
    2022/01/26 by 風文
    Views 1168 

    말과 공감 능력

  23. No Image 18Aug
    by 風文
    2022/08/18 by 風文
    Views 1171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24. No Image 14Oct
    by 風文
    2021/10/14 by 風文
    Views 1173 

    언어의 혁신

  25. No Image 27Jun
    by 風文
    2022/06/27 by 風文
    Views 1174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