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3.06 06:34

“김”

조회 수 20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

우리 딸은 아빠를 잘 이용한다. 밥을 푸러 일어나 두세 걸음을 옮길라치면 등 뒤에서 ‘아빠, 일어난 김에 물 한잔만!’. 안 갖다줄 수가 없다. 매번 당하다 보니 ‘저 아이는 아빠를 잘 써먹는군’ 하며 투덜거리게 된다. 중요한 건 때를 잘 맞추는 것. 늦지도 빠르지도 않아야 한다. 잠자코 기다리고 있다가 누군가 몸을 움직이기 시작하면 먹이를 낚아채는 야수처럼 세 치 혀를 휘둘러 자기 할 일을 슬쩍 얹는다.

밥을 하면 밥솥에서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른다. 물을 끓이면 주전자에서 김이 뿜어져 나온다. 추운 날 내 입에서도 더운 김이 솔솔 나온다. 모양이 일정치 않고 아지랑이처럼 아른거리다가 이내 허공에서 사라진다. 시시때때로 변하는 세상 이치를 집안에서 알아챌 수 있는 것으로 이만한 게 없다.

‘김’은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 ‘장 보는 김에 머리도 깎았다’처럼 ‘~하는 김에’라는 표현을 이루어 두 사건을 이어주기도 한다. 단순히 앞뒤 사건을 시간순으로 연결하는 게 아니다. 앞일을 발판 삼아 뒷일을 한다는 뜻이다. ‘장을 보고 머리를 깎았다’와는 말맛이 다르다. 앞의 계기가 없다면 뒷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저 가능성이나 아쉬움으로 남겨두었겠지. 기왕 벌어진 일에 기대어 한 걸음 더 나아가려는 용기를 낸다. ‘말 나온 김에 털고 가자.’ ‘생각난 김에 전화해 봐.’ 변화를 위해선 뭐든 하고 있어야 하려나.

‘~하는 김에’가 숨겨둔 일을 자극한다는 게 흥미롭다. 잠깐 피어올랐다 이내 사라지는 수증기를 보고 뭔가를 더 얹는 상황을 상상하다니. 순발력 넘치는 표현이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8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5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283
3348 드라비다말 바람의종 2008.01.02 7105
3347 복잡다난·미묘 바람의종 2008.01.03 11243
3346 움과 싹 바람의종 2008.01.03 8726
3345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596
3344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627
3343 자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4 7228
3342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999
3341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852
3340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523
3339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991
3338 노무족 바람의종 2008.01.06 6494
3337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417
3336 참말과 거짓말 바람의종 2008.01.07 9046
3335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485
3334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732
3333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365
3332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993
3331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558
3330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891
3329 말소리의 억양 바람의종 2008.01.10 7019
3328 말다듬기 바람의종 2008.01.10 6622
3327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1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