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1.16 08:08

‘통일’의 반대말

조회 수 15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일’의 반대말

‘낮’의 반대는 ‘밤’, ‘살다’의 반대는 ‘죽다’. 반대말은 어떤 상태의 양쪽 끄트머리로 우리의 시선을 잡아당긴다. 그 사이에 있는 우여곡절은 놓치게 하지. ‘깨끗하다-더럽다’ ‘따뜻하다-차갑다’ ‘다정하다-무정하다’처럼 사회문화적인 평가가 담긴 말은 한쪽으로 마음이 쏠리게 하지.

'통일’의 반대말은 뭘까? ‘분단’이나 ‘분열’쯤 될 듯. 분단, 분열은 ‘쪼개지고 갈라졌다’는 부정적 감정을, 통일은 ‘하나되고 일치한다’는 긍정적 감정을 일으킨다. ‘우리의 소원’이기도 하니, 거역할 수 없는 지상명령이다. 통일만 된다면, 긴장과 대립은 사라지고 상처는 치유되며 온 세상에 일치와 단결의 함성이 드높아질 거라는 유토피아적 희망을 품게 된다.

그러다 보니, 분단, 분열 쪽은 쳐다보지도 않는다. 일상생활에서도 일사불란한 통일을 좋아한다. 식당에서 ‘짜장면으로 통일!’을 외칠 때 뿌듯한 일체감을 느낀다. 통일은 엄연히 존재하는 차이를 가려야 성립한다. 그런 점에서 획일화의 위험을 안고 있다.

반대편에 있는 ‘분단’, ‘분열’을 보자. 요즘 말로 바꾸면 ‘자유’나 ‘자치’라 하겠다. 각각의 자유가, 서로의 다름이 당당히 추구되고 성취되어야 한다. 그런 가운데 ‘그래도 함께할 구석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긍정적인 답이 떠올라야 ‘같은 말과 피’라는 민족적·유전자적 차원보다 진일보한 통일이 가능하리라. 우리에게 더 많은 권력 분산, 더 많은 지방색, 더 많은 자치가 필요하다. 통일과 자유, 자치를 절묘하게 결합시키는 게 시대적 과제다. 반대말의 사이를 헤엄치며, 반대말을 뒤섞음으로써.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0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6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606
3326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084
3325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085
3324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085
3323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086
3322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087
3321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088
3320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風文 2022.07.26 1093
331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094
3318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094
3317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094
3316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096
3315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097
3314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102
3313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103
3312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104
3311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104
3310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105
3309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105
3308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108
3307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108
3306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112
330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風文 2022.02.06 11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