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헛걸음’ ‘헛소리’ 따위에 붙는 접두사 ‘헛-’은 한자 ‘빌 허(虛)’에서 왔다. 사전에선 ‘이유 없다’거나 ‘보람 없다’는 뜻이 덧붙는다고 새기고 있는데, ‘가짜, 잘못, 거짓’의 뉘앙스가 더 강하다. ‘나이를 헛먹다, 헛것을 보다, 헛똑똑이’ 같은 말이 그렇다. 매사를 투입 대비 산출로 생각하는 것이 이 시대의 행동강령이다. 적게 투입하고도 목표를 달성하면 박수를 받는다. ‘헛-’이 붙은 말들은 비능률, 비생산적인 상황을 지목한다. ‘헛-’이 빠지면 실속 있고 원하던 게 이뤄진 것이겠지. 힘을 썼으면 그에 맞는 성과를 얻어야 하리. ‘헛심(힘)’ 쓸 바엔 차라리 가만히 있으라. 눈에 보이는 성과(아웃풋)가 없는 일은 헛수고. 장사도 그렇고 배움도 그렇다. 돈 안 되는 일은 그만둬.

하지만 헛짓이 쓸모없지만은 않다. 헛기침은 민망함을 표시하거나 눈치주기의 용도로 요긴하다. 스산한 세상에서 헛웃음이라도 웃어야지. 상대의 턱에 주먹을 날리는 것보다 헛주먹질이 멀리 보면 낫다. 입덧이 심한 임신부의 헛구역질은 고통스러운데 그 고통의 시간이 흘러 아이가 태어난다. 3할대 야구선수도 얼마나 많은 헛스윙을 했겠는가.

우리 대부분은 원하는 걸 얻지 못하며 산다. 헛물만 켜는 경우가 허다하다. 삶은 헛바퀴 돌듯 하고, 걸음을 헛디뎌 넘어진다. 그래도 지금 당장의 헛고생이 어떻게 굴절되어 나에게 쌓일지 모른다. 풍진세상에 살지만, 그래도 더 평화롭고 평등한 세상은 꼭 온다는 헛꿈이라도 꿔야 견디지. 그러니 헛되어 보이는 일도 잠자코 할 수밖에. 열매를 맺지 못하는 헛꽃도 예쁘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83
3150 통합키로, 참석키로 바람의종 2010.05.08 12629
3149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415
3148 통째/통채 바람의종 2008.09.03 11761
3147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593
3146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334
3145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438
3144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606
3143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056
3142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162
3141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433
3140 토를 달다 바람의종 2008.02.01 13826
3139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094
3138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600
3137 터울 바람의종 2008.11.11 7115
3136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076
3135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565
3134 터무니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31 11495
3133 택도 없다. 바람의종 2010.08.15 14702
3132 태풍의 눈 바람의종 2008.01.31 10624
3131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596
3130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717
3129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3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